흡연자 10명중 3명 “담뱃값 만원으로 올라도 안 끊어”

흡연자 10명중 3명 “담뱃값 만원으로 올라도 안 끊어”

입력 2013-09-16 00:00
수정 2013-09-16 17: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루 한 갑 이상 피우는 ‘골초’일수록 끊을 의지 없어

담뱃값이 현재 가격인 2천500원 선에서 1만원으로 인상되더라도 흡연자 10명 중 3명은 담배를 끊을 생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갤럽이 성인 남녀 1천211명에게 흡연과 담배가격 인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2%가 담뱃값을 2천원 올리는 데 찬성했다.

하지만, 응답자 중 흡연자(283명)의 찬성률은 24%에 그쳤다. 게다가 흡연자의 절반에 해당하는 47%는 담뱃값이 4천500원으로 오르더라도 계속 담배를 피우겠다고 응답했다.

특히 담뱃값이 1만원으로 올라도 계속 피우겠다는 흡연자는 전체의 33%에 달했다. 만원으로 가격이 오르면 금연을 결심하겠다는 응답은 54%, 모르겠다는 응답은 14%였다.

가격이 이처럼 크게 뛰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젊은 흡연자였다.

담뱃값이 1만원으로 오를 경우 만19~29세 흡연자의 70%가 금연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나 40·50대 흡연자는 47%만 담배를 끊겠다고 응답했다.

반면 하루에 한 갑(20개비) 이상 피우는 이른바 ‘골초’는 담배 가격이 아무리 오르더라도 끊겠다는 의지가 적었다.

담뱃값이 4천500원일 때 애연가의 금연 의지는 고작 19%로, 전체 흡연자의 금연 의향인 40%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담배 가격이 1만원이 되더라도 헤비스모커 가운데 담배를 끊겠다는 응답은 32%에 불과했다.

정부가 시행하는 150㎡ 이상 음식점, 술집, 카페에서의 흡연 금지에 대해서는 대부분 찬성했다.

전체 응답자의 88%가 이런 금연정책에 찬성했고 흡연자 중에서도 77%가 음식점에서는 금연하는 데 찬성한다고 응답해, 비흡연자와 흡연자 모두 음식점에서의 전면금연에 대체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