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이상 전연령대 칼슘 부족…성장기 더 심각”

“3세이상 전연령대 칼슘 부족…성장기 더 심각”

입력 2013-11-14 00:00
수정 2013-11-14 07: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국민 3명중 2명, 평균필요량에도 미달”

우리 국민 중 젖먹이를 제외한 전 연령대의 식생활에 칼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창 자라는 청소년기에는 칼슘 섭취량 부족 정도가 더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에 따르면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니 우리 국민의 식생활에서 칼슘 섭취량은 권장량에 견줘 평균 72% 수준에 그쳤다.

남성은 권장량 대비 78%를 섭취했고 여성은 이보다 더 낮아 67%에 머물렀다.

연령별로는 분유나 모유를 주로 섭취하는 0∼2세 영아를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대에서 식품을 통한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치지 못했다.

65세 이상 노인은 칼슘 권장량의 56%를 섭취, 모든 연령대 가운데 식생활로 얻는 칼슘 섭취량이 가장 낮았다. 또 칼슘 공급이 충분해야할 12∼18세 청소년도 권장량의 59%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칼슘 섭취량은 소득 수준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소득을 4단계로 구분했을 때 가장 높은 집단이 권장량의 78%를 섭취한 반면 최저 집단은 67%로 소득계층간 차이가 컸다.

우리 국민이 식생활로 얻는 칼슘의 양은 하루평균 517.9㎎이며, 주공급원은 채소류(26.7%)와 우유류(23.2%)로 구성됐다. 단일 식품으로는 우유(16.8%)가 단연 1위이고 멸치(6.3%), 김치(6.2%) 순이었다.

이번 분석은 식품으로 섭취하는 칼슘의 양만을 대상으로 했으며 영양제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확인된 식이보충제 복용률은 39.8%로, 나머지 60% 이상 국민은 식품에서만 칼슘을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건당국은 2011년 기준으로 국민 3명 중 2명은 평균필요량(한 집단의 일일필요량을 충족시키는 값)보다 적은 칼슘을 먹고 있다고 추정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우리 국민은 남녀노소 및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 대비 80% 미만이고, 12∼18세 청소년과 65세 이상 노인의 칼슘 섭취 상태가 가장 불량하다”며 칼슘 섭취 개선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