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중앙은행 간 정책 조화 노력할 것”

“정부·중앙은행 간 정책 조화 노력할 것”

입력 2014-04-03 00:00
수정 2014-04-03 0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오석 부총리, 이주열 한은 총재실 이례적 방문

2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8층 총재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밝은 표정으로 들어섰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여독도 안 풀리셨을 텐데…”라며 반갑게 맞이했다. 현 부총리는 미주개발은행(IDB) 연차총회에 참석했다가 브라질에서 27시간 비행기를 타고 날아와 이날 아침 한국에 도착한 터였다. 현 부총리는 “하루라도 빨리 (이 총재의 취임을) 축하드리기 위해 왔다”고 화답했다. 이 총재는 전날 취임했다.
이미지 확대
현오석(오른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이주열 신임 한은 총재에게 초상화를 선물하고 환하게 웃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현오석(오른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이주열 신임 한은 총재에게 초상화를 선물하고 환하게 웃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기재부 장관과 한은 총재가 사석에서 회동한 적은 더러 있었지만 장관이 한은을 직접 찾은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윤증현 장관이 2009년 2월 13일에 이성태 총재를 찾아온 뒤 두 번째다. 당시에는 윤 장관이 취임 인사차 한은을 찾은 모양새였다. 현 부총리는 “빈손으로 오기 뭣해…”라며 아마추어 작가가 그린 이 총재의 캐리커처를 전달했다. “기재부 장관이 한은을 찾은 게 처음은 아니다”라며 언론의 지나친 의미 부여를 경계하던 이 총재는 현 부총리의 ‘깜짝선물’에 환한 웃음을 지어 보였다.

‘남산골 샌님’, ‘남대문 출장소’ 등의 말에서 알 수 있듯 긴장과 갈등의 관계를 유지해 온 정부와 한은이 ‘허니문’에 들어갔다. 이 총재가 먼저 취임사를 통해 “한은도 국가정책기관”이라며 “경기 회복세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마음을 열었다. 이에 질세라 현 부총리도 총재의 취임 바로 다음 날에 한껏 몸을 낮춰 직접 한은을 찾음으로써 핑크빛 분위기를 달궜다. 약속이나 한 듯 같은 색(파랑) 넥타이를 나란히 맨 두 사람은 “한국 경제를 함께 고민해 나가자”며 손을 맞잡았다.

김철주 기재부 경제정책국장과 김민호 한은 통화정책국장이 배석한 가운데 30분 남짓 이뤄진 비공개 회동에서 두 사람은 “우리 경제가 개선되고 있으나 미국과 중국 등 대외 불확실성에 유의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정부와 중앙은행 간의 정책 조화 의지를 다졌다”고 배석자들은 전했다. 회동 뒤 이 총재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집행하는 기관 사이에 경제상황 인식에 대한 갭(격차)이 있으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초 기재부와 한은은 경기 진단과 처방에 있어 현격한 차이를 드러낸 적 있다. 한은법 개정과 관련된 논의는 오가지 않았다고 양측은 밝혔다.

20대 때 한은에 석 달간 근무했던 현 부총리는 “74년 입행”이라며 한은과의 인연을 각별히 강조했다. 입행으로 따지면 이 총재가 현 부총리의 3년 후배다.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격의 없는 만남을 계속 갖기로 했다. 이런 기류가 실제 정책 공조로 이어질지는 두고 볼 일이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4-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