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에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지만 등기이사와 직원 간 임금 격차는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일 20대 증권사의 공시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등기이사가 받은 평균 보수는 직원 평균 급여의 8.92배로 집계됐다. 2012년 12월 기준으로 양측의 급여 격차 비율은 6.24배, 지난해 12월은 8.58배였음을 고려하면 등기이사와 직원 간 임금 양극화가 심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불황 극복을 위한 증권사 구조조정에 경영에 직접 책임이 있는 등기이사보다 직원들이 더 희생했다는 의미다. 1분기 등기이사의 평균 보수는 1억 9400만원이었던 반면 직원의 급여 평균은 2200만원이었다. 지난해 말보다 1분기에 등기이사와 직원 간 임금 격차가 커진 곳은 대신증권(8.5→22.2배), 메리츠종합금융증권(9.5→24.7배), 하나대투증권(6.3→12.6배), 미래에셋증권(6.7→12.1배) 순이었다. 대신증권은 이어룡 회장이 상여금과 성과급을 포함해 8억 1000만원을 받았고, 메리츠종합금융증권도 최희문·김용범 대표에게 각각 8억 5000만원과 6억 9000만원의 성과급이 지급됐다.
반대로 격차가 줄어든 곳은 HMC투자증권(19.4→4.1배), 경영 위기를 겪은 동양증권(15.3→4.6배), 삼성증권(17.7→11.2배) 등으로 조사됐다. 임금 양극화가 덜한 곳은 KB투자증권(2.2배)과 신한금융투자(2.8배), NH농협증권(3.0배), KDB대우증권(3.8배) 등으로 나타났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4-06-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