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분쟁 10건 중 3건은 임플란트 때문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는 2012년 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조정을 신청한 치과 분쟁 125건 중 임플란트 분쟁이 28%(35건)로 가장 많았다고 19일 밝혔다.
이어 보철(19.2%), 교정(16.8%), 신경치료(13.6%), 발치(12.0%), 의치(4.8%) 등의 순이었다.
임플란트 분쟁 35건을 피해 유형별로 살펴보면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37.1%)이 가장 많았고 매식체(인공치아 뿌리부분) 탈락·파손(25.7%), 보철물 탈락·파손(8.6%)이 뒤를 이었다.
진료 단계 중 분쟁이 가장 많이 발생한 때는 골이식·매식체를 심는 과정(40.0%)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고령자(54.3%)가 가장 많이 분쟁 조정을 신청했고 임플란트 이후 매식체나 보철물이 탈락한 시점은 1년 이내(25.7%)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임플란트 치료 시 수술 동의서를 작성한 경우는 11건(31.4%)에 불과했다.
치과 분쟁 125건 중 의료진의 책임이 인정돼 배상 결정된 사건은 61.6%(77건)이었으며 배상 결정 총액은 2억1천292만9천이었다. 이 중 임플란트 피해에 대한 배상 결정액은 8천83만4천원이었다.
위원회 관계자는 “다음 달부터 75세 이상 고령자의 임플란트에 대해 건강보험이 일부 적용돼 시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치과 분쟁 발생 시 의무기록이나 치아사진 등의 증빙자료를 확보해 한국소비자원 등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는 2012년 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조정을 신청한 치과 분쟁 125건 중 임플란트 분쟁이 28%(35건)로 가장 많았다고 19일 밝혔다.
이어 보철(19.2%), 교정(16.8%), 신경치료(13.6%), 발치(12.0%), 의치(4.8%) 등의 순이었다.
임플란트 분쟁 35건을 피해 유형별로 살펴보면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37.1%)이 가장 많았고 매식체(인공치아 뿌리부분) 탈락·파손(25.7%), 보철물 탈락·파손(8.6%)이 뒤를 이었다.
진료 단계 중 분쟁이 가장 많이 발생한 때는 골이식·매식체를 심는 과정(40.0%)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고령자(54.3%)가 가장 많이 분쟁 조정을 신청했고 임플란트 이후 매식체나 보철물이 탈락한 시점은 1년 이내(25.7%)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임플란트 치료 시 수술 동의서를 작성한 경우는 11건(31.4%)에 불과했다.
치과 분쟁 125건 중 의료진의 책임이 인정돼 배상 결정된 사건은 61.6%(77건)이었으며 배상 결정 총액은 2억1천292만9천이었다. 이 중 임플란트 피해에 대한 배상 결정액은 8천83만4천원이었다.
위원회 관계자는 “다음 달부터 75세 이상 고령자의 임플란트에 대해 건강보험이 일부 적용돼 시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치과 분쟁 발생 시 의무기록이나 치아사진 등의 증빙자료를 확보해 한국소비자원 등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