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사랑의 김치
10일 대전 유성구 노은동 농수산물시장에서 열린 아줌마축제에 참가한 주부들이 지역의 어려운 이웃에게 나눠줄 김장김치를 담그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대상FNF가 운영하는 김치 브랜드 종가집은 주부 블로거 300명을 대상으로 올해 김장 준비 계획을 주제로 설문을 한 결과 직접 김장을 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 비율이 66.2%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설문 당시 김장을 하겠다는 비율(58.1%)보다 높다.
배추를 비롯한 김장 채소 작황이 좋아 전반적으로 가격이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으로 종가집은 보고 있다.
김장을 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에는 ‘절임배추를 사고 속만 직접 만든다’는 응답 비율이 49.1%로 가장 높았고, 배추 절임과 속 만들기 까지 모두 손수한다는 대답비율은 40.7%, 절임배추와 양념 속 모두 구입해 버무리기만 한다는 응답은 10.2%였다.
특히 모든 김장 준비를 스스로 한다는 비율은 평년보다 약 10%포인트 줄었고, 양념까지 구매할 계획이라는 응답 비율은 약 10%포인트 늘었다. 간편하고 일손을 줄일 수 있는 김장 방식을 선호하는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김장 예정시기로는 11월 중순(39.2%)이 가장 많았고, 11월 말 이후와 11월 초는 각각 36.1%, 20.2%로, 11월 중 김장 시기가 분산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김장 예산은 10만원 이상 20만원 미만이 40%로 가장 많았다. 20만원 이상 3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비율은 30%였다.
김장을 앞둔 걱정거리로는 약 49.4%가 ‘고된 노동’을 꼽았다. 김치 맛을 우려하는 응답은 28.2%, 비용을 걱정하는 주부는 18.9%였다.
김장을 하지 않겠다는 주부들의 가장 큰 이유는 ‘식구 수가 적어서’(34.8%)였다. 김장을 하지 않고 포장김치를 구입할 예정이라는 응답자는 53.3%, 가족과 지인에게 얻을 예정이라는 응답은 46.7%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