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제약사에 한국은 봉?

다국적 제약사에 한국은 봉?

입력 2014-11-21 00:00
수정 2014-11-21 0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의약품 70%가 외국보다 비싸

다국적 제약회사에도 한국은 ‘호갱’(호구와 고객을 합한 말)이었다. 해외에서도 파는 일반의약품의 70% 정도가 해외보다 국내에서 더 비싸게 팔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일반의약품 16개와 의약외품 10개 제품의 국내외 판매 가격을 조사한 결과 일반의약품 중 11개 제품의 국내 판매 가격이 외국보다 더 비쌌다고 20일 밝혔다. 해외 가격은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독일 등 5개국의 평균 판매가다.

국내외 가격 차가 가장 큰 제품은 옥시레킷벤키저의 ‘개비스콘 더블액션 현탁액’으로, 국내 판매가가 해외보다 149.5% 비쌌다. 이어 화이자의 ‘애드빌정’(82.8%), 화이자의 ‘센트룸 실버정’(51.8%),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드리클로’(45.9%), 화이자의 ‘센트룸정’(35.0%), 노바티스의 ‘오트리빈 멘톨 0.1% 분무제’(32.2%), 바이엘의 ‘카네스텐크림’(22.3%) 등의 순으로 국내 판매가가 더 비쌌다.

약국에 따라 최고값과 최저값의 차이도 컸다. 베링거잉겔하임의 ‘둘코락스 좌약’은 최대 200% 차이가 났다. 노바티스의 ‘라미실크림’, 화이자의 ‘애드빌정’, 화이자의 ‘애드빌 리퀴겔 연질캡슐’,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잔탁’ 등 4개 제품도 100% 이상 차이가 났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11-2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