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탓?…아날로그 가계부 판매 급증

불황 탓?…아날로그 가계부 판매 급증

입력 2015-01-08 09:27
수정 2015-01-08 09: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저금통·금고 판매도 늘어

스마트폰 등장으로 주춤했던 아날로그 가계부 판매가 다시 늘고 있다.

온라인 쇼핑 사이트 11번가(www.11st.co.kr)는 지난 1~7일 가계부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65% 늘었다고 8일 밝혔다.

11번가 측은 “장기화한 경기침체 속에 한 푼이라도 아끼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아날로그 가계부는 직접 손으로 쓰면 돈의 흐름을 알 수 있어 절약하는 습관이 확실히 잡힌다는 장점에 구매가 늘었다”고 전했다.

11번가 이보미 문구담당 MD는 “스마트폰 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은 입출금 내용이 자동 계산돼 경제관념을 기르기 어렵다”며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있고 백업을 하지 않으면 정보가 사라질 가능성이 큰 것도 아날로그 가계부 붐을 일으키는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최근에는 경제관념이 투철한 젊은 고객들이 아날로그 가계부 시장을 이끌고 있다고 11번가 측은 전했다.

지난해 가계부 구매자 중 20대가 전년도보다 15% 늘면서 비중이 37%로 높아졌고 30대도 33%를 기록, 20-30세대가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가계부와 함께 저금통 매출 역시 64% 증가했다.

저금리 기조 탓에 현금을 보유하려는 소비자가 늘면서 금고 매출도 127% 뛰었다.

11번가 박종복 팀장은 “불황 속에 한 푼이라도 아끼고 모으려고 가계부나 저금통처럼 경제관념을 높일 수 있는 제품 구매가 늘었다”며 “자신이 직접 쓰고 동전을 집어넣으며 절약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어 이런 제품은 스마트폰 시대에도 인기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