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 물가는 어쩐지 안 떨어지더라

체감 물가는 어쩐지 안 떨어지더라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5-03-24 00:18
수정 2015-03-24 1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비자원 조사 생필품값 0.9% 상승… 통계청은 0.1% 하락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지난달 주요 생필품 평균 판매가격은 전월 대비 0.9% 올랐다. 반면 통계청의 2월 생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생활물가는 소비자원 쪽이 훨씬 가깝다. 디플레이션(장기 침체 속 물가하락)이 우려될 정도의 저물가가 이어지고 있지만 주요 생필품값은 계속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한국소비자원은 생필품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www.price.go.kr)에서 수집한 지난달 생필품 판매 가격을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0.9% 상승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대해 김보경 통계청 물가동향 과장은 “조사 상품과 대상이 다르다”면서 “특히 통계청 생활물가는 가격이 떨어진 휘발유를 포함해 더 내려간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원 조사 결과 전월보다 평균 판매가격이 오른 품목은 쌈장(8.5%)과 양파(8%), 즉석우동(7.1%), 과일주스(7%), 생리대(6%) 등이다. 부침가루(-10.2%)와 혼합 조미료(-7.7%), 당면(-5.3%), 버터(-5%), 세탁세제(-3.7%) 등은 내렸다.

제품별 평균 판매가격 상승률은 CJ라이온의 주방세제 ‘CJ참그린’이 15.6%로 가장 높았다. 반면 LG생활건강의 세탁세제 ‘테크’ 단품은 24%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컸다.

같은 제품이라도 유통 채널에 따라 가격 차이가 최대 5.5배나 났다. LG생활건강의 ‘테크’ 단품은 가장 비싼 곳이 1만 8500원, 가장 싼 곳은 3360원이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03-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