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여개국 참가하는 ‘2015 제7차 세계물포럼’ 개막

170여개국 참가하는 ‘2015 제7차 세계물포럼’ 개막

입력 2015-04-12 14:11
수정 2015-04-12 15: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물 관련 최대 국제행사, 12∼17일 대구·경주서 열려각국 고위인사, 국제기구·학계 관계자 등 3만여명 물 문제 논의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세계인이 머리를 맞대는 ‘제7차 세계물포럼’이 12일 오후 대구 엑스코에서 국내외 주요 인사 1천800여명이 참석한 개회식과 함께 본격적인 막을 올렸다.

이날 개회식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이정무 조직위원장, 베네디토 브라가 세계물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각국 각료, 국회의원, 물 관련 기업 대표, 전문가, 시민 등 3천여명이 참석했다.

개회식에 참석한 박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에서 개최되는 세계 물포럼을 통해 물과 관련된 국제분쟁의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평화로운 세상을 앞당겨 나갈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70년 간 지속된 긴장관계를 남북을 잇는 물길을 통해 완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남북 관통 하천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일부터 시작해서 남북이 서로 만나고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실행(Implementation)’을 핵심 가치로 ‘Water for Our Future’라는 구호 아래 오는 17일까지 대구 엑스코(EXCO)와 경북 경주 하이코(HICO) 일대에서 열린다.

세계물포럼은 세계물위원회(World Water Council)가 3년마다 ‘세계 물의 날’(3월22일)을 전후해 여는 물 관련 최대 국제 행사다.

올해는 각국 정상을 비롯해 장·차관급 고위인사, 국제기구 관계자, 학자, 물 관련 기업인, 비정부기구(NGO) 활동가, 시민 등 170여 개국에서 3만여명이 참가한다.

주제별 과정과 정치적 과정, 과학기술 과정, 지역별 과정 등 4개 분야에 걸쳐 역대 최대 규모인 400여개의 세션에서 세계 물 문제의 해결방안을 논의한다.

대구에서는 주제별 과정, 과학기술 과정과 물 산업 전시회인 엑스포가 열리고 경주에서는 정치적 과정, 지역별 과정과 시민포럼이 진행된다.

세계물포럼의 핵심 과정인 주제별 과정은 기후변화, 재해, 에너지 등 16개의 대주제 아래 모두 135개 세션이 진행된다. 고위급 인사 등이 참여하는 특별세션을 통해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재원조달방안, 물과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등 다양한 이슈를 논의한다.

정치적 과정은 장관급, 국회의원, 지방정부 등 3개 회의로 나뉘어 30개 세션을 진행하는데 지구촌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정치적 의지를 모은 ‘각료선언문’을 채택한다. 특히 장관급 회의에서는 물과 위생,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물관리 등 8개 주제로 라운드 테이블을 열어 정부 차원의 해법을 논의한다.

지역별 물 관련 현안을 논의하는 지역별 과정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7개 지역별로 27개 세션이 열린다. 올해는 특히 물 문제에 대한 대륙별 경험을 공유하고자 여러 지역에서 공통으로 선정한 이슈를 다룰 지역 간 연계 세션을 도입했다.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신설된 과학기술 과정은 세계가 직면한 다양한 물 관련 도전을 해결할 최신 과학·기술과 정보 공유를 활성화하고자 마련됐으며 효율적 물관리, 스마트 물관리, 폐수 재이용 기술 등을 주제로 모두 38개의 세션이 열린다.

시민과 다양한 시민단체가 진행하는 시민포럼에서는 물과 여성, 물과 인권, 세계 어린이 물포럼, 대학생 물 의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 차원의 물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행사 기간에는 지금까지 논의된 물 문제 해법의 ‘실행’을 모색하는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물 문제 해결을 위한 각국의 우수한 정책사례를 공모한 ‘워터 쇼케이스(Water Showcase)’와 첨단기술을 활용해 혁신적 방안을 제시하는 ‘월드 워터 챌린지(World Water Challenge)’를 진행하고 여기서 선정된 최우수작 각 1편에는 제7차 세계물포럼 특별상인 대구·경북 워터 프라이즈(상금 각 3천만원)를 수여한다.

또 분야별 물 관련 과학기술의 과거·현재·미래를 분석한 물 백서를 발간하고 세계 1, 2위를 점유하는 프랑스의 다국적 물 기업인 베올리아(Veolia), 수에즈(Suez) 등 물 관련 기업 대표들이 참가해 기업의 역할을 논의하는 ‘CEO 이노베이션 패널’도 열린다.

대구 엑스코에서는 39개국 294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는 ‘물 엑스포’가 열리는데 17개 국가관을 중심으로 각국의 물 관련 정책이나 산업 역량을 홍보하고 전시하는 ‘물 전시 올림픽’의 형식으로 진행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국토부, 환경부, 농식품부, 해수부, 국민안전처, 기상청 등 7개 부처가 합동으로 한국관을 조성해 운영한다.

물을 소재로 한 영화제, 사진전, 한류 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마련해 물 전문가뿐 아니라 지역 주민과 국민의 참여도를 높이고 외국 참가자들에게 우리 관광자원을 소개하는 지역 관광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6일 부천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및 제26회 대한민국오늘문화대상’ 시상식에서 광역의정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은 사단법인 대한민국연예예술인연합회(총재 남상숙, 이사장 황계호), 한국언론대표자협의회, 대한모델협회 등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을 실천해온 인물을 정례적으로 선정해 시상하는 행사다. 조직위원회는 박 의원이 지역 현안을 직접 챙기며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일상생활에 밀접한 교통체증 해소, 급수 환경 개선을 비롯해, 교육·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 주민 체감도를 높였다는 점이 수상 배경으로 꼽힌다. 또한 저소득·다문화 아동을 위한 영어교실 출범을 위한 민·관 협력을 주도하고, 장애인 대상 나눔 행사 지원,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동행플라자 유치 등 지역 기반의 사회공헌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박 의원은 “2년 연속 수상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곳곳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고, 자원봉사와 사회공헌의 가치를 실천하는 의정활동으로 서울시와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