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원 이상 펀드 32개 환헤지 안 해… 환헤지 한 42개 펀드도 큰 효과 없어
증시 폭락으로 속앓이를 하던 중국 펀드 투자자들이 기습적인 위안화 평가 절하로 환차손까지 입게 되면서 울상을 짓고 있다.1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설정액 10억원 이상 중국 본토 주식형 펀드 74개 가운데 32개가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환헤지를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헤지를 한 펀드 42개도 절대 다수가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만을 회피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지금처럼 위안·달러 환율이 급변하는 구간에서는 별다른 환헤지 효과를 볼 수 없다. 중국 펀드에서 제대로 환헤지를 하려면 원·달러를 헤지한 후 다시 위안·달러를 헤지해야 한다.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평가 절하를 단행한 첫날인 지난 11일 상하이종합지수는 0.01% 하락하는 데 그쳤지만 국내 중국 본토 펀드의 수익률은 평균 1.32% 하락했다. 위안화 고시 환율이 전날보다 1.86% 상승한 데 따른 환차손 효과가 거의 고스란히 반영된 것이다.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12∼13일 위안화 가치가 1.62%, 1.11% 추가 평가 절하된 이상 중국 본토 펀드의 환차손은 더욱 심화됐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중국 당국이 발표한 위안화 환율 변동 폭 확대 방침에 따라 현재 2%인 환율 변동폭이 3%로 확대되면 향후 환손실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가 하락에 환차손까지 겹치면서 중국 본토 펀드의 자금 이탈 흐름이 가속화될지도 변수다. 올해 들어 지난 4월까지 매달 자금이 순유입되던 중국 본토 펀드는 5월 이후 매달 자금이 이탈하고 있다. 다만 상반기에 자금이 워낙 많이 들어와 올해 전체적으로는 아직 6583억원의 순유입을 기록하고 있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당국이 추가 평가 절하는 없을 것이라고 공언한 만큼 위안·달러 환율은 현재 수준에서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지적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08-1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