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바이오·스마트카 등 미래 신수종산업 ‘승부수’

삼성, 바이오·스마트카 등 미래 신수종산업 ‘승부수’

입력 2016-02-24 18:00
수정 2016-02-24 18: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은 저성장 시대를 맞아 대대적인 사업 재편을 단행했다. 이를 통해 막을 열어젖힌 ‘삼성 3.0’ 시대에는 기존에 주도해 온 산업에 안주하지 않고 바이오, 스마트카 등 미래 신수종 산업에서 돌파구를 모색한다.

이미지 확대
인천 송도에 세워진 삼성바이오로직스 공장의 내부 모습. 삼성은 앞으로 5년 내 세계 1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삼성 제공
인천 송도에 세워진 삼성바이오로직스 공장의 내부 모습. 삼성은 앞으로 5년 내 세계 1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삼성 제공
반도체, 스마트폰에 이은 삼성의 승부처는 바이오 분야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총 8500억원을 들여 인천 송도에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공장을 짓는다. 2018년 말 가동을 목표로 하는 제3공장은 연간 생산능력 18만ℓ로, 바이오 의약품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삼성은 향후 5년 내 세계 1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기업(CMO)으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또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류마티즘 관절염 치료제인 바이오시밀러 ‘베네팔리’가 유럽 시장의 문을 열며 삼성의 ‘바이오 승부수’ 전망을 밝히고 있다.

자동차와 정보기술(IT) 격전의 장이 펼쳐질 스마트카 분야에도 뛰어든다. 삼성은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전장사업팀을 신설, 스마트카 분야 진출을 공식화했다.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등 계열사의 기술력을 총집결한다는 전략이다.

반도체에서도 ‘초격차 전략’을 이어 간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5월 경기도 평택 고덕 국제화계획지구 산업단지에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라인 건설에 착수했다. 평택 반도체단지는 총 부지 면적이 289만㎡로, 삼성전자는 2017년까지 1단계로 총 15조 6000억원을 투자한다.

2016-02-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