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총선 이후 조선업계 ‘빅3’ 체제 손본다

[단독]총선 이후 조선업계 ‘빅3’ 체제 손본다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4-08 22:52
수정 2016-04-09 0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6조 손실… 정부 “지속가능 어렵다”

中·日 등 경쟁국 구조조정, 韓 턱밑 추격

정부가 오는 13일 총선 이후 조선업계 구조조정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빅3’ 체제에도 칼을 대기로 했다. 민간 자율에 맡겨서는 경영 정상화가 어렵다고 판단한 정부가 팔을 걷어붙이기로 한 것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8일 “이대로 놔둬서는 조선업계가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면서 “구조조정을 안 하면 조선은 물론이고 국내 다른 산업도 미래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도 “총선이 끝난 뒤 노동·금융·교육 공공 분야 등 4대 개혁과 더불어 산업계 구조조정에 나설 것”이라면서 “특히 조선업 부실 정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대형 조선3사가 낸 손실만 6조원에 달한다. 정부 관계자는 “중소기업은 20억원만 부도가 나도 경영자가 구속된다”면서 “1조원 이상 적자를 내고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강도 높게 질타했다.

그동안 정부가 총선을 의식한 나머지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지 않아 ‘골든타임’을 놓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중국, 일본 등 경쟁국은 이미 구조조정 사이클이 시작됐다. 어느새 일본 조선업계는 턱밑까지 추격해 왔다. 한·일 간 조선시장 점유율이 3.1% 포인트 차(지난해 말 기준)로 좁혀졌다.

8일(현지시간) 조선업계 권위지인 ‘트레이드윈즈’도 국내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 가능성을 공식 제기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4-0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