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기업들 M&A로 이익 사상 최대, 우리도 원샷법 시행… 기업 도와야”

“美기업들 M&A로 이익 사상 최대, 우리도 원샷법 시행… 기업 도와야”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6-07-14 23:12
수정 2016-07-15 0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업활력제고법 설명회서 주장

“지난해 미국 기업들이 사상 최대 이익을 낸 것은 흔히들 생각하듯 구글, 애플 등 혁신기업들 때문이 아니라 끊임없는 산업별 인수·합병(M&A)이 원인이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1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삼정KPMG가 국내 기업 재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연 ‘기업활력제고법(원샷법) 설명회’에서 이재현 삼정KPMG 전무이사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나라도 ‘원샷법’ 시행을 통해 기업 간 M&A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원샷법은 19대 국회를 통과해 다음달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 전무는 “미국의 경우 1997년 이후 3분의2 이상의 업종에서 기업 간 통합이 진행됐고, 특히 2008년 이후 성사된 10조 달러 이상의 대형 M&A의 경우 동종업계에서 이뤄진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며 “규모의 경제 실현이 경쟁력 강화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해 말 화학업체 다우케미칼과 듀폰의 합병을 들었다. 원자재 가격 하락과 농업부문 매출 둔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이 회사들은 합병을 통해 3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을 절감했고 세계 2위 화학기업으로 거듭났다.

2014년 미쓰비시중공업과 히타치제작소가 각각의 화력발전사업부를 합병한 것도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사업재편 과정에서 이들 회사에는 자본금 증가 및 부동산 등기에 따른 등록면허세 감경 등 세제 혜택이 적용됐다. 일본의 ‘산업경쟁력강화법’ 덕분이다. 우리나라의 원샷법도 이 법을 벤치마킹해 만들어졌다.

원샷법이 시행되면 조선, 해운 등 취약업종뿐 아니라 부실 징후 업종, 공급 과잉 업종 등의 선제적인 사업 재편이 쉬워진다. 소규모 분할이 가능해지고 M&A 절차가 간소화되기 때문이다. 등록면허세 등도 감면된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7-1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