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갈 때 고기 상온에 6시간 이상 두지 마세요”

“캠핑갈 때 고기 상온에 6시간 이상 두지 마세요”

입력 2016-08-02 12:05
수정 2016-08-02 1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휴가철 캠핑에서 빠질 수 없는 바비큐 재료인 축산물이 부패하기 쉽지만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뮬레이션 시험을 한 결과 아이스박스 없이 여름철 외부나 차량 트렁크에 축산물을 4∼6시간 보관하면 부패하기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여름철 외부(33℃)와 여름철 차량 트렁크(43℃)에 냉장기구 없이 축산물을 보관하면 4시간 후부터 균이 증식하기 시작해 6시간이 경과하면 부패 초기 단계인 5×106CFU/g(CFU는 세균 개체 수)에 도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아이스박스(4∼10℃)에 보관하면 24시간이 지나도 세균 수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소시지와 같은 가공육의 경우 살균처리과정을 거쳐 생고기보다 부패까지 걸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8∼12시간이었다.

그러나 소비자원이 최근 1년 동안 캠핑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9.3%(193명)은 캠핑을 갈 때 축산물을 구입한 후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에 보관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가장 많은 63.2%가 ‘캠핑장까지 시간이 별로 걸리지 않아서’라고 답했으며 ‘냉장제품이 많아 (함께 두면) 충분히 신선하다고 생각돼서’(13.0%)가 그 뒤를 이었다.

축산물은 대부분 집 근처 마트 등에서 구입(77.9%)해 캠핑장까지 평균 1~3시간 이동(64.8%)하고 대부분 당일 저녁에 먹는(83.0%) 것으로 나타났다.

오전에 구입한 축산물을 저녁에 먹을 경우 최대 7∼8시간이 걸려 시험결과와 같이 구입한 축산물 등이 부패될 가능성이 있었다

아울러 축산물을 가장 마지막에 구입하지 않는 응답자는 60.5%, 다른 식재료와 구분없이 담는다는 응답자는 57.7%로 축산물 취급 안전 의식이 부족했다고 소비자원은 전했다.

소비자원은 “캠핑할 때 식중독 사고를 막기 위해 축·수산물을 분리 보관하고 운반할 때는 최대한 냉장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