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으로 노인 빈곤율 크게 줄었다

기초연금으로 노인 빈곤율 크게 줄었다

입력 2016-09-12 13:37
수정 2016-09-12 13: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p 하락…생활도움에 만족

기초연금이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노인빈곤을 개선하는 데 이바지하는 것으로 나왔다고 보건복지부가 12일 밝혔다.

복지부는 통계청의 가계동향 자료를 재분석한 결과, 기초연금 도입 이후 노인 빈곤율 등 주요 빈곤지표가 점차 나아지고 있고, 실제연금을 받는 노인은 생활에서 자신감과 여유가 생기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2015년말 기준 기초연금 수급액을 소득에 넣으면 이를 제외한 경우보다 기초연금 지급 전후 노인 절대 빈곤율이 38.6%에서 28.8%로 약 10%포인트 하락했다. 상대 빈곤율은 50.3%에서 44.7%로 5.6% 포인트 떨어졌다.

소득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도 5.8배 하락(13.2배→7.4배)해 노인계층의 소득불평등 수준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왔다.

절대 빈곤율은 전체 노인 중 소득수준이 최저생계비(절대빈곤선) 이하인 사람의 비율을, 상대 빈곤율은 전체 노인 중 소득수준이 중위소득의 50%(상대빈곤선) 이하인 사람의 비율을 말한다. 소득 5분위 배율은 소득 하위 20% 계층의 소득 대비 상위 20% 계층의 소득을 뜻한다.

이에 따라 기초연금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도 높게 나왔다.

국민연금연구원이 5~6월 기초연금을 받는 노인 2천 명을 대상으로 기초연금 제도 만족도와 수급 후 생활변화 등을 일대일 면접 설문 조사해 보니, 91%가 기초연금을 ‘잘 도입했다’고 했다. ‘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91%나 됐다.

기초연금을 받은 후 생활변화(5점 만점 기준)로는 ‘병원에 가는 부담이 감소’(3.7점), ‘미래 불안감 감소’(3.4점), ‘원하는 것을 살 수 있음’(3.3점) 등의 순으로 나왔다.

복지부는 실제 기초연금 수급 노인의 생활 수기를 모은 사례집 ‘기초연금이 만든 일상의 행복한 변화’를 발간했다.

기초노령연금을 확대 개편한 기초연금은 2014년 7월부터 65세 이상 노인 중에서 소득 하위 70%에 지급되고 있다.

올해 6월 현재 총 454만명의 노인이 매달 최대 20만4천10원의 기초연금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