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원산지 거짓표시, 10건 중 4건이 미국산”

“쇠고기 원산지 거짓표시, 10건 중 4건이 미국산”

입력 2017-10-01 10:41
수정 2017-10-01 1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수입국별 쇠고기 원산지 표시위반 사례 가운데 미국산 쇠고기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서귀포시)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쇠고기 국가별 원산지 거짓 표시 위반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쇠고기 원산지 거짓 표시 적발 건수는 총 239건이었다.

이 가운데 미국산 쇠고기 적발 사례는 94건으로, 전체의 40%에 육박했다.

전체 적발 사례 10건 중 4건은 미국산 쇠고기인 셈이다.

특히 지난해 전체 적발 건수(515건) 중 미국산 쇠고기의 비중이 35.5%(183건)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는 미국산 쇠고기의 비중이 작년보다 더 높아졌다.

적발된 미국산 물량은 주로 국산이나 호주산 등으로 둔갑해 판매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산 쇠고기에 이어 호주산 쇠고기의 원산지 위반 적발 건수가 70건(29%), 여러 국가에서 수입된 혼합 고기가 국산 등으로 둔갑한 사례가 63건(26%) 등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산이 국산으로 둔갑한 경우는 12건으로 가장 적었다.

올해 1∼8월 기준 발생업체별로 보면 일반음식점에서 외국산 쇠고기를 한우 등으로 속인 사례가 152건으로 전체의 63.5%나 됐다.

이어 식육판매업(65건), 가공업체(7건), 집단급식소(5건) 순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적발 건수는 서울(43건)을 비롯해 경기(39건), 전남(29건), 전북(24건), 경북(16건) 등으로 나타났다.

위 의원은 “축산농가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산의 한우 둔갑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라며 “철저한 원산지단속을 통해 외국산 축산물이 국산으로 둔갑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