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무임승차’ 심각…다주택·억대 재산에도 ‘0원’

건강보험 ‘무임승차’ 심각…다주택·억대 재산에도 ‘0원’

입력 2017-10-24 09:49
수정 2017-10-24 15: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동민 의원은 “건보 부과체계 개편안 중 미흡한 부분 수정·보완해야”

여러 채의 집을 갖고 있거나 억대의 자산을 보유하고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에 얹혀 보험료를 한 푼도 내지 않는 피부양자의 ‘무임승차’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해 다주택자 141만명이 피부양자로 등록돼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았다. 소득과 부동산 등 재산을 수치화한 기준으로 억대 재산을 보유한 185만명도 건강보험료를 한 푼도 안 내고 의료보험 혜택을 보고 있다.

‘얌체족’으로 비난받을 수 있는 이들 피부양자는 제도의 허점 속에 꾸준히 증가해 건강보험 재정에 부담을 가중해 왔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기동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된 사람은 지난해 기준 2천48만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두 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피부양자 즉, 2채 이상 집을 갖고 있으나 피부양자로 등록돼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는 사람은 141만3천920명에 달했다.

다주택 보유자 중에서는 2~4채의 주택을 보유한 피부양자의 비중이 가장 컸다. 2~4채 주택을 보유한 피부양자는 124만2천430명으로 전체 다주택 피부양자 141만3천920명의 87.8%를 차지했다.

5~10채를 보유한 피부양자는 14만803명(9.9%), 11~15채를 보유한 피부양자는 1만8천283명(1.3%), 16~20채 9천583명(0.6%)이었다.

21채 이상 보유하고도 피부양자로 등록해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은 경우도 2천822명(0.2%)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훈 의원(자유한국당)이 입수한 건강보험 피부양자의 재산과표 현황에서도 동일한 정황이 포착됐다.

지난해 기준 1억 이상 재산을 보유한 건강보험 피부양자는 185만3천794명으로 사상 최대에 달했다.

피부양자 중 억대 재산 보유자는 2013년 2만6천977명(총 157만명), 2014년 6만7천688명(총 164만명), 2015년 1만명(총 165만명) 증가했다. 2016년에는 20만3천839명이나 급증했다.

이처럼 보험료를 내지 않고 건강보험 혜택을 받는 피부양자가 많으면 형평성 문제를 낳을 뿐 아니라 재정기반을 약하게 하는 등 건강보험 제도 유지에 악영향을 끼친다.

보건복지부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2018년 7월부터 2022년까지 2단계에 걸쳐 소득중심으로 건보료 부과체계를 개편하면서 피부양자가 될 수 있는 인정기준과 범위를 한층 강화했다.

지금은 ▲ 금융소득 ▲ 연금소득 ▲ 근로·기타소득이 각각 연간 4천만원을 넘지 않고, 과표 재산이 9억원 이하(2016년 현재 실거래가격 약 18억원)면 피부양자로 등재될 수 있다. 최대 1억2천만원의 종합소득을 보유하고 고가 아파트를 소유해도 피부양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개편 후에는 합산소득이 3천400만원(1단계), 2천만원(2단계)을 넘으면 피부양자 자격을 잃는다.

재산도 과표 5억4천만원(1단계), 3억6천만원(2단계)이 넘으면 피부양자에서 탈락한다. 다만, 과표를 초과해도 연 1천만원 이상의 소득이 없으면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

피부양자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형제·자매를 제외토록 해 범위를 축소했다.

이렇게 해서 개편이 완료되면 현재 피부양자의 2.3% 정도인 47만명이 지역가입자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기동민 의원은 “보험료는 소득과 재산에 따라 형평성에 맞게 부과돼야 한다”며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을 차질없이 진행하고 현재 계획된 개편안 중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시행 전 수정·보완해 공정한 부과체계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