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이상 비정규직 213만명…작년보다 8만5천명↑

대졸이상 비정규직 213만명…작년보다 8만5천명↑

입력 2017-11-03 13:34
수정 2017-11-03 1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정규직, 60대·여성·고졸에서 많아…주로 서비스업 종사통계청 올해 8월 654만 비정규직 분석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비정규직의 수가 고졸이나 중졸 이하보다 올해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이러한 특성이 나타난다.

이 조사는 올해 8월 기준으로, 2002년 7월 노사정위원회가 합의한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의와 범주에 따라 집계한 것이다.

총 654만2천명의 비정규직 근로자를 성별로 보면 여성이 55.2%로 남성보다 10.4%포인트(p) 높았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여성 비중이 0.3%p 상승했다.

비정규직의 증가율은 여성에서 더욱 가팔랐다. 남성 비정규직은 293만명으로 1년 전보다 2만4천명(0.8%) 증가했고, 여성은 361만1천명으로 7만4천명(2.1%) 증가했다.

비정규직은 60세 이상(23.5%), 50대(21.5%), 40대(19.5%), 20대(17.8%), 30대(15.0%), 10대(2.7%) 순으로 많았다.

나이별 비중을 1년 전과 비교하면 60세 이상에서 0.7%p, 20대에서 0.3%p 상승했다.

규모를 보면 60세 이상에서 6만8천명(4.7%), 20대 3만8천명(3.3%), 50대 2만1천명(1.5%) 각각 증가했다. 반면 10대에서 1만5천명(-7.8%), 30대 1만4천명(-1.4%) 각각 감소했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일하는 산업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325만2천명(49.7%)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이어 도소매·음식숙박업 131만8천명(20.1%), 건설업 77만7천명(11.9%) 순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서 9만6천명(3.0%), 도소매·음식숙박업에서 3만8천명(3.0%) 증가했지만, 제조업은 3만6천명(-6.5%) 감소했다.

직업별로 분석해 보면 단순노무종사자가 204만명(31.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비스·판매종사자 165만7천명(25.3%), 관리자·전문가 112만1천명(17.1%) 순으로 비중이 컸다.

1년 전과 비교해보면 서비스·판매종사자에서 10만1천명(6.5%), 사무종사자 2만7천명(4.0%), 관리자·전문가 2만1천명(1.9%) 각각 증가했다.

반면 기능·기계조작종사자는 7만명(-6.6%) 감소했다.

비정규직 학력은 고졸이 288만8천명(44.2%)으로 가장 많았다. 대졸이상은 213만3천명(32.6%), 중졸이하는 152만1천명(23.2%)으로 각각 뒤를 이었다.

하지만 작년과 비교해 대졸이상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8만5천명(4.1%) 증가했다.

고졸도 3만1천명(1.1%) 증가했지만, 중졸이하는 1만8천명(-1.2%) 감소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인구구조로 봤을 때 대졸이상은 인구도 취업자도 모두 증가 중이라 비정규직 규모도 증가하는 추세지만 증가 폭은 점차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