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정부는 최근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상화폐 과열 현상과 관련해 5가지 원칙을 정했다.
이미지 확대
가상화폐 비트코인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가상화폐 비트코인
정부가 밝힌 5가지 원칙은 △실명제는 차질없이 추진하고 △과도한 투기와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하지만 △거래소 폐쇄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사안은 아니며 △기반기술인 블록체인을 육성하고 △국무조정실이 컨트롤타워가 돼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이날 정부 발표는 새로운 내용은 지금까지 발표했던 사안들을 정리하는 수준으로, 무엇보다 시장의 혼란을 잠재운다는 데서 의미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발표는 향후 정부 대응을 예고하는 원칙으로 받아들여야 할 듯하다. 더불어 최근 부처간 혼선 끝에 정리된 입장인 만큼 이날 발표된 5가지 정부 입장은 향후 가상화폐 문제를 다루는 정책의 밑바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 논란은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지난 11일 암호화폐 거래소 전면폐지 등을 담은 특별법을 마련하겠다고 밝히면서 촉발됐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같은 날 “확정된 사안은 아니다”며 진화에 나선 바 있다.
정기준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이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상통화에 대한 정부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2018. 1. 15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기준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이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상통화에 대한 정부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2018. 1. 15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정기준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으로 “정부는 12·28 특별대책에서 밝힌 암호화폐 실명제를 차질없이 추진하는 한편 시세조작, 자금세탁, 탈세 등 거래 관련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검찰·경찰·금융당국의 합동조사로 엄정 대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정부는 가상화폐는 ‘법정화폐’가 아니란 점을 강조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해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성 메시지는 다시 한번 보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