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위험 최악…가계·기업 대출 더 죈다

신용위험 최악…가계·기업 대출 더 죈다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8-04-05 22:26
수정 2018-04-05 2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리 상승·보호무역 확대 여파

2분기 은행 심사 깐깐해질 듯
中企 대출 수요는 늘어날 전망
이미지 확대
2분기(4~6월) 은행권의 가계·기업대출 문턱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대출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은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 부담 증가 가능성과 보호무역주의 확대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신용위험이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국내 은행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4로 조사됐다.

대출태도지수는 은행권의 대출 동향과 전망을 수치화한 것으로, -100부터 100 사이에 분포한다.

전망치가 마이너스(-)면 금리나 만기 연장 조건 등 대출 심사를 강화하겠다는 금융기관이 많다는 뜻이다. 반대로 전망치가 플러스(+)면 대출 심사 완화 분위기가 강하다는 의미다.

은행들은 가계, 대기업, 중소기업 등 모든 차주를 대상으로 대출을 강화할 것으로 조사됐다. 가계 주택담보대출 태도 지수는 -30, 가계 일반대출 태도 지수는 -7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달 말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을 도입하고 예대율 규제를 강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기업 대출태도지수는 -3, 중소기업은 -10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신용위험지수는 35로 전 분기보다 11포인트 올랐다. 신용위험은 지난해 4분기부터 3분기 연속 올라 2009년 1분기(38)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계 신용위험은 23에서 30으로 올랐다. 가계 신용위험은 31을 기록한 2012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았다. 중소기업은 전 분기 23에서 43으로 급등하며 2009년 1분기(47) 이후 최고였다. 대기업은 10에서 17로 상승했다.

올해 2분기 대출수요는 6을 기록했다. 대기업은 0으로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지만 중소기업(17)은 대출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한은은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여유자금 확보 필요성 등으로 중소기업 대출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8-04-0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