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 15%·무 39%↓…6월 생산자물가 농산물 하락에 ‘보합’

수박 15%·무 39%↓…6월 생산자물가 농산물 하락에 ‘보합’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7-20 09:41
수정 2018-07-20 09: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월 대비 농산물 물가 하락률, 8개월 만에 최대

국제유가 상승세가 주춤하고 농산물 물가는 줄줄이 내리며 6월 생산자물가가 보합세를 보였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8년 6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4.41로 한 달 전과 같은 수준이었다.

전월 대비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3월 보합세를 보인 뒤 4월 0.1%, 5월 0.3%로 확대하다가 3개월 만에 다시 0%로 쪼그라들었다.

생산자물가 상승세가 보합세를 보인 데는 농산물 물가 안정 탓이 크다.

여름을 맞아 출하량이 늘면서 농산물 물가가 7.0% 내렸다. 농산물에 축산물, 수산물까지 아우른 농림수산품 물가는 3.3% 하락했다. 각각 작년 10월 이후 가장 큰 하락률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수박이 15.6%, 무가 39.9% 하락한 것을 비롯해 토마토(-22.4%), 감자(-55.9%) 물가도 한 달 전보다 두드러지게 떨어졌다.

4∼5월 생산자물가 상승을 이끈 유가 상승세에 제동이 걸리며 공산품 생산자물가 상승세는 둔화했다.

5월 월평균 배럴당 74.41달러이던 두바이유는 지난달 73.61달러로 1.1% 하락했다.

이 때문에 공산품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5월 0.4%에서 6월 0.2%로 축소했다.

화학제품 물가 상승률은 0.7%에서 0.6%로 석탄 및 석유제품은 5.4%에서 0.4%로 쪼그라들었다.

전력, 가스 및 수도와 서비스 물가는 각각 보합세를 나타냈다.

서비스 가운데 음식점 및 숙박업 물가는 0.1% 올랐으나 운수(-0.2%), 금융 및 보험(-0.5%) 물가는 하락했다.

생산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로 2.6% 올랐다. 이로써 생산자물가는 2016년 11월 이후 20개월 연속 상승 행진을 이어갔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3월 1.3%에서 매달 커지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국제유가 상승 폭이 전년 동월 대비로 커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유가 상승세가 최근 주춤해졌다고 해도 1년 전 같은 달과 견주면 여전히 상승 폭이 크다. 국제유가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5월 46.7%에서 6월 58.4%로 높아졌다.

이 때문에 석탄 및 석유제품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30.1%로 작년 2월(38.4%) 이후 가장 컸다.

한편 국내 출하에 수입까지 포함해 상품, 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101.07로 한 달 전보다 0.7% 올랐다.

국내 출하에 수출까지 포함한 총산출물물가지수는 0.3% 오른 100.25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