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있는 서울 가구 절반 이상이 공시가 3억 넘어

집 있는 서울 가구 절반 이상이 공시가 3억 넘어

신성은 기자
입력 2019-02-04 09:00
수정 2019-02-04 09: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억원 초과 주택보유 가구 비중 서초구 82% 1위…강북구는 25%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의 아파트 단지의 모습.
서울 강남의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17년 부동산 가격 상승 영향으로 집 있는 서울 가구의 절반 이상이 공시가격 3억원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주택을 소유한 서울 가구는 187만5천 가구로 이중 보유한 주택의 공시가격 총합이 3억원을 초과한 가구는 97만 가구(51.7%)였다.

공시가격의 시세반영률은 단독주택은 51.8%, 공동주택은 68.1%다. 이를 기준으로 공시가격 3억원을 시세로 환산하면 4억∼6억원 수준이다.

2017년 공시가격 3억원 초과 주택보유 가구 비중은 전년 47.9%에서 3.8%포인트 상승하면서 절반을 넘어섰다. 박근혜 정부 때부터 계속된 부동산 가격 상승 영향이다.

전국 가구 기준으로 3억원 초과 주택보유 가구 비중이 23.3%라는 점에 비춰보면 서울이 두배 이상 더 높다.

서울 자치구별로 보면 지역별 격차가 뚜렷했다.

서초구가 82.0%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81.8%), 송파구(71.7%), 성동구(70.3%) 등이 뒤를 이었다.

강북구는 25.2%로 서울 자치구 중 가장 비중이 작았다. 전국 평균(23.3%)보다는 높았지만, 서초·강남구 등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금천구(28.0%), 도봉구(29.6%) 등도 30%를 밑돈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 기준으로 보면 서울 가구가 소유한 주택 267만7천호 중 공시가 3억원 초과 주택은 173만3천호로 전체의 64.7%를 차지했다. 비중이 전년(61.5%)보다 3.2%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공시가 3억원 초과 주택 비중은 강남구가 89.4%로 가장 높았고 서초구(89.1%), 송파구(82.5%)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강북구(38.2%), 금천구(42.5%), 도봉구(43.3%) 등은 3억원 초과 주택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

│ │ 2017 │ 2016 │

│ ├─────┬──────┬───┼─────┬─────┬───┤

│ │ 주택보유 │ 3억 초과 │ 비중 │주택보유가│ 3억 초과 │ 비중 │

│ │ 가구(A) │주택 보유(B)│(B/A·│ 구(A) │주택 보유(│(B/A·│

│ │ │ │ %) │ │ B) │ %) │

├────┼─────┼──────┼───┼─────┼─────┼───┤

│ 전국 │11,000,007│ 2,557,645 │ 23.3 │10,743,492│2,314,766 │ 21.5 │

├────┼─────┼──────┼───┼─────┼─────┼───┤

│ 서울시 │1,875,189 │ 970,037 │ 51.7 │1,864,059 │ 893,582 │ 47.9 │

├────┼─────┼──────┼───┼─────┼─────┼───┤

│ 서초구 │ 83,436 │ 68,410 │ 82.0 │ 84,396 │ 68,092 │ 80.7 │

├────┼─────┼──────┼───┼─────┼─────┼───┤

│ 강남구 │ 100,798 │ 82,485 │ 81.8 │ 101,310 │ 81,356 │ 80.3 │

├────┼─────┼──────┼───┼─────┼─────┼───┤

│ 강북구 │ 63,306 │ 15,935 │ 25.2 │ 62,399 │ 14,202 │ 22.8 │

├────┼─────┼──────┼───┼─────┼─────┼───┤

│ 도봉구 │ 77,312 │ 22,911 │ 29.6 │ 76,831 │ 20,207 │ 26.3 │

└────┴─────┴──────┴───┴─────┴─────┴───┘

※ 자료제공 : 통계청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

서울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 강남2)은 지난 4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과 ‘우리들의 광복절’ 공동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특별전은 서울역사박물관과 서울시 문화본부가 공동 주최하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시민들과 함께 기억하기 위해 기획됐다. 개막식에는 김형재 의원을 비롯해 박물관 및 문화계 인사, 연구자,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뜻깊은 자리를 함께했다.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 전시는 많은 독립지사를 배출한 안동시와의 교류협력 속에서 만주지역 무장독립투쟁을 이끈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이셨던 이상룡 선생과 이상룡 선생의 고택 임청각의 역사를 조명할 예정이며, ‘우리들의 광복절’ 전시의 경우 문학, 음악, 영화 등 대중문화 속 광복절을 되새기며 시민의 기억을 담아낼 계획이다. 김 의원은 이날 축사에서 “단재 신채호 선생님께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하셨고, 역사학자 E.H.Carr는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했다”며 “그런 의미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와 서울역사박물관이 함께 마련한 이번 특별전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의
thumbnail -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