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그 머니’… 달걀값 50% 뛰어 한 판에 7600원

‘에그 머니’… 달걀값 50% 뛰어 한 판에 7600원

나상현 기자
입력 2021-03-14 18:02
수정 2021-03-15 06: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AI로 산란계 14% 줄어 생산량 17% ‘뚝’
3~5월 작년보다 최대 68%가량 오를 듯

이미지 확대
AI 확산으로 계란 수급 비상
AI 확산으로 계란 수급 비상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으로 국내 계란 공급이 크게 줄면서 계란 수급이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23일 오후 대전 서구 한 대형할인마트(SSM) 계란 판매 코너에 1인당 계랑 30입 1판 한정판매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1.1.23 뉴스1
3∼5월 달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7%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달걀 산지가격도 지난해보다 최대 68%가량 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세가 다소 주춤해졌지만, 공급이 줄면서 달걀 한 판(특란 30개)의 소비자가격은 7600원대의 높은 수준을 이어 갔다.

1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에 따르면 3∼5월 산란계 평균 사육 마릿수는 6611만 마리로 지난해보다 8.7%, 평년보다 6.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달걀 생산에 중요한 6개월령 이상 사육 마릿수는 지난해보다 14.1%, 평년보다 13.3% 적은 4585만 마리로 추산됐다. 산란계 사육 마릿수가 줄면서 3∼5월 하루 평균 달걀 생산량 역시 지난해보다 17.1%, 평년보다 11.7% 감소한 3760만개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 기간 특란 10개의 예상 산지 가격은 1600∼1800원이다. 지난해 대비 3월(2020년 3월 1158원)은 38.2∼55.4%, 4월(1136원)은 40.9∼58.5%, 5월(1069원)은 49.7∼68.4% 높은 수준이다. 평년 대비 3월(946원)은 69.1∼90.3%, 4월(1053원)은 52.0∼71.0%, 5월(973원)은 64.5∼85.0% 높다. 지난 12일 기준 달걀 한 판의 소비자가격은 7633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15일 7821원까지 올랐던 것과 비교하면 소폭 내려갔지만, 여전히 지난해보다 44.7%, 평년보다 49.8% 비싸다.

대형마트 4곳에서는 6950~7980원에 달걀 한 판을 판매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통시장 15곳의 평균 가격은 7669원이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1-03-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