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퓨얼스 4배·니오코프 디벨롭먼츠 5배 올라
“19세기 금, 20세기 석유 이어 희토류 시대 도래”
中 수출통제 1년 연기…전문가, 장기화에 회의적
“변화 초기 단계…자체 공급망 구축까지 멀었다”
올해 최고 5배 상승한 미국 희토류 광산주 투자 열풍을 형상화한 인공지능(AI) 일러스트.
미국 상장 희토류 광산 기업들의 주가가 올해 들어 급등하며 새로운 투자 열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금과 석유 붐에 이은 ‘희토류 시대’의 시작으로 보며,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핵심 광물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3일(현지시간) CNBC 보도에 따르면, 미국 상장 희토류 광산 기업들의 주가가 올해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 세계 핵심 광물 확보 경쟁이 가열되면서 일부 기업은 300% 이상 상승했습니다.
에너지 퓨얼스는 올해 첫 10개월 동안 4배로 뛰었고, 니오코프 디벨롭먼츠는 거의 5배 넘게 올랐습니다.
최근 상승폭이 크게 둔화했지만 크리티컬 메탈스는 3개월간 주가가 2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아이다호 스트래터직 리소시스도 같은 기간 130% 올랐습니다.
“청정 에너지 전환…희토류 붐 도래”희토류는 스마트폰부터 재생 에너지, 국방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현대 기술의 필수 요소입니다. 미국 상장 희토류 광산주들이 급등한 것은 핵심 광물이 지정학적 경쟁 무대로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희토류 매장지 중 하나를 그린란드 남부에 보유한 크리티컬 메탈스의 토니 세이지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랠리를 역사적 자원 붐의 연장선으로 해석했습니다. 그는 “19세기에 금 붐, 20세기에 석유 붐, 21세기 초반 기술 붐에 이어 이제 희토류 붐이 도래했다”고 말했습니다.
미 컬럼비아대 기후경제학자 게르노트 바그너 교수는 글로벌 경쟁 심화 배경을 구조적 변화에서 찾았습니다. 그는 “청정에너지 전환이 가속하면서 여러 핵심 광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이는 필연적으로 가격 급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희토류 둘러싼 미중 힘겨루기 본격화희토류를 거의 독점하고 있는 중국은 미국과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데요. 지난달 30일 미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중국이 지난달 9일로 발표됐던 수출 통제 조치를 1년 연기하기로 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무역 휴전이 장기적으로 지속될지에 대해 회의적입니다.
리스타드 에너지의 오둔 마르틴센 공급망 연구 책임자는 미국이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 자체 공급망을 만드는 건 시작 단계이고, 앞으로 갈 길이 멀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는 “수입으로 공급 부족을 해결하던 방식에서 국내 또는 지역 내 채굴로 전환하는 과정”이라며 “적절하고 비용 효율적인 자원을 확보하고 원소 다양성을 완전히 통제하는 것은 복잡한 과제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여정은 길고 비용이 많이 들며 험난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한국인 남성과 결혼’ 日여성 “정말 추천”…‘이 모습’에 푹 빠졌다는데 [이런 日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7/SSC_20251107182512_N2.jpg.webp)
![thumbnail - “상공 60m 급강하 앞두고 안전벨트 풀려”…롤러코스터 공포의 순간 찍혔다 [포착]](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8/SSC_20251108113045_N2.jp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