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실내기지국 구축해 LTE 밀집지역 과부하 해소

LGU+, 실내기지국 구축해 LTE 밀집지역 과부하 해소

입력 2013-07-14 00:00
수정 2013-07-14 1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LG유플러스(U+)가 초소형 실내기지국(펨토셀, femto-cell)을 구축해 롱텀에볼루션(LTE) 전송량이 밀집된 지역의 과부하 해소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LGU+는 지난 2월부터 200명 내외의 가입자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소형 실내기지국(피코셀, pico-cell)을 이용해 대형 빌딩과 쇼핑센터, 집단상가 등 지역의 LTE 서비스 품질을 높여왔다.

이번에 LGU+가 구축하는 초소형 실내기지국은 전송범위가 100m 안팎이다. LGU+는 이 장비를 통해 커피숍, PC방, 지하상가 등의 더 규모가 작은 지역의 통화품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LGU+는 특히 자사 장비는 경쟁사의 초소형 기지국과 달리 전국망 주파수인 2.1㎓ 대역과 800㎒ 대역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들었다.

경쟁사의 초소형 기지국은 각각 800㎒(SK텔레콤) 대역과 1.8㎓(KT) 대역 등 기존의 전국망 주파수와 동일한 대역을 사용해 주파수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자사 장비는 그런 문제가 없고 데이터 전송량이 급증해도 안정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는 게 LGU+의 설명이다.

LGU+는 이들 초소형 기지국을 서울, 부산, 광주 등 주요 광역시의 데이터 집중지역과 인구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구축하고, 이후 구축 범위를 빠르게 확대할 계획이다.

또 장비를 계속 진화시켜 광대역 주파수 이용은 물론이고 수용용량 확대와 기가와이파이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LGU+는 이들 초소형 기지국 장비가 삼지전자·SMEC·굿소프트웨어랩 등 국내 장비제조업체와 협업을 통해 만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최택진 LGU+ SD기술전략부문장은 “정보통신기술(ICT) 생태계 발전을 통한 창조경제 기반 마련을 위해 국내 장비제조업체와의 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