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T블루 기사도 취소수수료 30% 받는다…‘상생안 한발짝’

카카오T블루 기사도 취소수수료 30% 받는다…‘상생안 한발짝’

나상현 기자
입력 2022-03-21 12:39
수정 2022-03-21 1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카카오T 로고. 카카오모빌리티 제공.
카카오T 로고. 카카오모빌리티 제공.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T블루 기사에게 취소수수료의 30%를 배분하는 개편안을 적용했다고 21일 밝혔다. 사업자 추가 수익모델인 ‘RSE’(차량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도 시범 도입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12월 카카오T블루 가맹점협의회 상생간담회를 통해 카카오T블루 취소수수료 배분 정책 개편을 시행하기로 협의했다.

카카오T블루 차량이 배차된 지 1분이 지나고서 호출을 취소하면 취소수수료가 발생하는데, 현재까진 가맹사업본부와 가맹점사업자가 5:5로 나눠 가졌다. 그러나 개편안에 따르면 가맹사업본부 20%, 가맹 기사(크루) 30%, 가맹점사업자 50%로 세분화됐다. 가맹 기사에게 배분되는 30% 몫은 매월 합산을 통해 익월 15일에 카카오T 택시 기사앱 내 포인트로 자동 적립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빠른 시일 내에 실시간 적립 시스템으로 변경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카카오모빌리티는 승객들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테스트 중인 RSE 시스템을 가맹택시 수익화 모델로 운용하겠다는 계획이다. RSE는 뒷좌석에 탑승 시 조수석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웹드라마, 애니메이션, 뉴스 등을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올해 상반기 내 RSE 시스템을 카카오T블루 1만대에 확대 설치하고, 광고 콘텐츠를 적용하기 위해 심의·광고주 섭외 등 제반 사항을 마무리해 연내 가맹회원사와 광고 수익을 공유할 계획이다. 콘텐츠도 영화, 스포츠, 제품, 음식·레시피 리뷰 등으로 확대한다. 향후에는 목적지·이용자 관심지점(POI) 등 각 이용자에게 정교하게 타깃팅된 콘텐츠를 송출할 수 있도록 고도화할 방침이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카카오모빌리티 MaaS(통합이동서비스) 사업실 신동훈 상무는 “가맹택시 산업과의 상생 생태계 구축과 신뢰 향상을 위해 다양한 현안 중 빠르게 실행 가능한 사항들을 우선 적용하고 제반 사항 준비가 필요한 것들도 빠르게 실행해 나가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상생 협력을 위한 실행 가능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