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을 통한 악성파일 유포 사례들. 지니언스 시큐리티 센터 제공
북한 배후 해킹조직이 개인의 스마트폰과 PC를 원격 조종해 사진·문서·연락처 등 주요 데이터를 통째로 삭제하는 ‘파괴형 사이버 공격’을 감행한 정황이 포착됐다. 단순한 정보 탈취를 넘어 현실 피해로 이어진 사례가 공식 보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0일 정보보안기업 지니언스 시큐리티 센터에 따르면 북한 연계 해킹조직은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피해자 기기를 원격 초기화하고, 탈취한 카카오톡 계정을 이용해 악성 파일을 지인들에게 유포한 것으로 분석됐다.
센터에 따르면 지난 9월 국내 한 심리상담사의 스마트폰이 초기화된 뒤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 파일이 상담사의 지인들에게 대량 전송됐다.
같은 달 북한 인권운동가의 스마트폰에서도 동일한 수법이 재현돼 악성 파일이 30명 이상에게 동시 전파됐다. 지니언스는 이번 공격이 기존 사회공학적 해킹 수법을 넘어선 ‘실질적 파괴 단계’라고 평가했다.
해킹 이미지
해커들은 피해자의 구글 위치 데이터를 활용해 외출 시간을 확인한 뒤 ‘내 기기 찾기’ 기능을 이용해 스마트폰을 원격 초기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의 PC와 태블릿까지 감염돼 추가 공격이 이뤄졌다. 특히 피해자의 웹캠과 마이크를 제어해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악성코드 내부에서 카메라·마이크 접근 권한이 확인됐으며, 피해자가 외부에 있는 시점을 노려 공격이 실행됐다.
지니언스는 “안드로이드 기기 데이터 삭제, 계정 탈취, 악성코드 전파를 결합한 수법은 전례가 없다”며 “북한의 사이버공격이 사람들의 일상 영역까지 침투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로그인 2단계 인증과 브라우저 비밀번호 자동저장 차단, PC 미사용 시 전원 차단 등 기본 보안 수칙 강화를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