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스피 상장사 중 배당금을 지급한 곳이 늘었지만 순이익 합계 대비 배당금 합계의 비율인 평균 배당성향은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코스피 상장사 779곳 중 배당금을 지급한 곳은 556곳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배당금을 지급한 기업은 1년 전보다 5.1% 증가했다. 또 2년 이상 연속으로 배당한 기업은 514곳이었고 이 중 432곳은 5년 연속으로 배당금을 지급했다. 하지만 이들의 평균 배당성향은 35.41%로, 1년 전과 비교해 4.14% 포인트 떨어졌다. 기업의 당기순이익은 84.6% 증가했지만 배당금은 13.7% 감소한 영향이다. 지난해 코스피 상장사의 전체 배당금은 28조 6107억원으로 집계됐다.
주가 대비 배당금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시가배당률은 최근 5년 중 가장 높았다. 보통주의 평균 시가배당률은 2.32%로, 1년 전(2.28%)보다 높아졌다. 우선주 시가배당률도 평균 2.65%로 집계됐다. 같은 배당금을 두고도 비교군에 따라 배당성향과 시가배당률 추이가 달라지는 이유는 2020년과 지난해의 주식시장 분위기가 달랐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양적완화에 대한 기대가 있었던 2020년과 달리 지난해에는 높은 당기순이익이 상대적으로 주가에 덜 반영돼 시가배당률이 올랐다”고 밝혔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배당금이 순이익 증가에 미치지 못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코스닥 시장 현금배당 공시 기업 589곳의 지난해 전체 배당금 규모는 2조 2040억원으로 2020년(1조 7662억원)보다 24.8% 늘어났다. 그러나 코스닥 상장 현금배당 기업의 지난해 평균 배당성향은 26.9%로, 2020년(32.7%)보다 5.8% 포인트 하락했다. 현금배당 기업 1개사의 평균 당기순이익이 2020년 170억원에서 지난해 221억원으로 30% 가량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순이익이 늘었지만 주주 환원은 그만큼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다. 지난해 코스닥 시장 상장 기업의 시가배당률은 1.45%로 2020년(1.56%)에 비해 하락했다.
황인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