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입찰 마감… 3개 컨소시엄 참여

애경, 항공사 보유 장점… 한투증권 가세
현대산업개발 현금 자산 1.7조 최대 강점
KCGI는 대기업 확보 못해 인수 못할 듯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할 ‘새 주인’ 후보가 가려졌다. 속내를 숨기고 있다가 막판에 뛰어든 깜짝 후보는 없었다. 본입찰 결과의 윤곽은 1~2주 뒤에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뉴스1
‘아시아나항공 새 주인 누가 되나?’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 활주로 에서 아시아나 항공기가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2019.11.7
뉴스1
뉴스1
이번 매각은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인 에어서울,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등 6개 회사를 ‘통매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절차는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구주 6868만 8063주(지분율 31.0%)와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신주(보통주식)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초미의 관심사인 입찰가는 HDC현대산업개발과 애경그룹 측이 모두 2조원 이상을 써낸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에서 추산한 1조 5000억~2조원의 범위를 뛰어넘는 금액이다. 반드시 인수하겠다는 두 기업의 강한 의지가 ‘베팅액’을 높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로써 HDC현대산업개발과 애경그룹 간의 양강 구도가 굳어지는 분위기다.

아시아나항공 인수전 참여한 HDC현대산업개발
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을 찾기 위한 본입찰이 열린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HDC현대산업개발 본사의 모습. HDC현대산업개발은 미래에셋대우와 컨소시엄 구성해 인수전에 참여했다. 2019.11.7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 마포구 애경산업 본사
연합뉴스
연합뉴스
애경그룹은 본입찰 직후 “항공사 간 인수합병(M&A)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해외 사례가 많다”며 제주항공을 보유한 애경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했다. 본입찰 직전 한국투자증권을 컨소시엄에 참여시키며 약점으로 지적된 자금력도 보완했다. 전략적투자자(SI)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던 KCGI는 막판에 한 중견기업을 SI로 확보하고 입찰에 참여했지만, 대기업 투자자를 구하지 못하면서 인수 경쟁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아시아나항공은 국제선 노선 70여개를 보유한 국내 2위의 대형항공사(FSC)다. 9조원에 달하는 부채를 떠안아야 하고, 노후 항공기 개선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는 점은 인수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19-11-0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