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내 ‘친환경 발전소’로 변신한 주유소…“규제 혁신해 전기차 충전까지”

도심 내 ‘친환경 발전소’로 변신한 주유소…“규제 혁신해 전기차 충전까지”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2-02-09 14:32
수정 2022-02-09 14: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 금천구 ‘SK 박미주유소’(사진)가 태양광 등을 통해 친환경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으로 거듭났다.

SK에너지는 9일 박미주유소에서 1호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개소식을 열었다.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은 태양광·연료전지 설비를 갖춘 주유소다. 도심 내 작은 ‘친환경 발전소’라고 이해하면 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서울시, SK에너지가 협력해 내놓은 주유소 기반 혁신사업 모델이다.

그간 정유사들이 주유소에 전기·수소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왔던 것과는 결이 다르다. 직접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이다. 주유소에 연료전지 설비가 갖춰진 것은 박미주유소가 처음이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전기가 만들어진다. 이 사업이 확대되면 도심 곳곳에 발전소를 갖추게 된다. 정부와 업계는 이를 통해 송배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낮추고 도시의 전력 자급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 중이다.

이렇게 생산한 전기를 전기차 충전에 활용할 수 있으면 금상첨화다. 추가 부지를 확보하지 않고도 전기차 인프라를 갖출 수 있어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과제가 하나 남았다. ‘발전사업자는 전기판매업을 겸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 현행 전기사업법을 정비해야 한다. 이 법령을 바꾸지 않고서는 주유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곧바로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없다. 우선 박미주유소에서 만든 전기는 한국전력이 구매한다. SK에너지는 이 규제가 개선되는 대로 전기를 차량 충전 용도로 공급할 예정이다. SK에너지는 사업을 운영해보고 안전성 등을 입증한 뒤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모델을 전국 SK주유소에 확대할 계획이다.

SK에너지 관계자는 “주유소는 에너지 수요가 집중되는 요충지에 있어 미래 전기·수소차 충전 인프라 설치에 가장 적합한 장소”라면서 “앞으로 약 3000개의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을 구축해 탄소중립 및 수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지난 7월 14일부터 시행된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주차요금 50% 감면’ 제도가 공영주차장에서 안내 부실과 표기 누락으로 제도 취지가 제대로 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이 발의한 ‘서울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개정안은, 기존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던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80%)을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에게까지 확대(50% 감면)한 내용이다. 지난 7월 14일부터 감면이 적용됐음에도 8월 8일까지 감면 혜택을 받은 유족이 전무해, 주요 공영주차장 감면 안내표시를 확인한 결과, 감면 내용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매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서울시 공영주차장 128개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주차장 40개소를 확인하여 안내표지판에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요금 면’ 내용을 게시 조치했으나, 글씨가 작은 게시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설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점검 대상 40개소 중 ‘독립유공자 본인 주차요금 감면 80%’ 표기가 누락된 곳이 20곳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공공기간 부설주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