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쇼크 진정세…아시아 증시 상승세 전환

중국발 쇼크 진정세…아시아 증시 상승세 전환

입력 2016-01-05 09:29
수정 2016-01-05 1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일 중국 경기 둔화 우려로 급락했던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5일 안정을 되찾고 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02%(99.61포인트) 하락한 3,196.65로 장을 시작했다.

하지만 10시 50분 현재 상승세로 전환해 0.87% 오른 3,324.85를 나타냈다.

선전성분지수는 0.23% 내린 2,114.30이다.

일본 닛케이 225 지수는 이날 하락세로 출발했지만 이 시각 현재 0.30% 오른 18,505.51에 거래되고 있다.

토픽스 지수도 상승세로 전환해 0.17% 오른 1,512.28에 거래되고 있다.

한국 코스피 지수는 6.83포인트(0.36%) 내린 1,911.93에 개장했다. 코스피는 10시 50분 현재 0.66% 오른 1,931.51을 기록하고 있다.

전날 상하이 종합지수는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간 갈등 확산에 따른 지정학적 불안감 고조 등에 따라 6.9%나 하락했다.

일본 닛케이평균주가(닛케이225지수)도 3.06% 급락한 18,450.98에 마감했으며 한국 코스피는 2.17% 내린 1,918.76에 마감했다.

영국 런던 FTSE 100 지수는 2.4%, 독일 프랑크푸르트 DAX 30지수는 4.3%, 프랑스 파리 CAC 40 지수는 2.5% 각각 떨어졌다.

뉴욕증권거래소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6% 하락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와 기술주 위주인 나스닥 종합지수도 각각 1.5%, 2.1% 하락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