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실종자 가족 모욕한 軍/김상연 정치부 차장

[오늘의 눈]실종자 가족 모욕한 軍/김상연 정치부 차장

입력 2010-03-29 00:00
수정 2010-03-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6일 밤 천안함 침몰사고는 발생 30여분 만에 대통령에게 보고됐다. 정부 발표대로라면 군의 보고체계는 비교적 무난하게 작동했다고 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김상연 워싱턴 특파원
김상연 워싱턴 특파원
하지만 일반 국민들 중에서 가장 먼저 보고받아야 마땅한 천안함 승선 장병들의 가족은 보고라인에서 배제됐다. 아들을 열달 동안 배 안에 품고 20년 넘게 키우느라 골수가 다 말라버린 어머니들은 TV로부터 ‘보고’를 받았다.

뉴스만으로 아들의 생사를 짐작해야 하는 가족들의 불안과 공포는 가히 고문이라 할 만큼 서서히 사람을 미치게 하는 것이었다.

평소 아들이 천안함을 탄다는 사실만 알고 있던 한 어머니는 그 밤중에 여기저기 수소문해 “천안함이 몇 대 있느냐.”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물었고, “천안함은 한 대뿐이다.”라는 소리에 실신했다.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 채 봉두난발로 경기 평택시 해군 2함대사령부로 들이닥친 가족들은 “(군 당국으로부터) 전화 한 통 못 받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책임 있는 간부가 나타나지 않자 이들은 바리케이드를 뚫고 안으로 쳐들어갔다. 그 앞을 아들과 같은 나이 또래의 병사들이 총구를 겨누며 막아섰다. 그 병사들의 조준은 군법에 의하면 정당한 것이었다. 하지만 인간성을 상실한 총구는 무너져가는 제국의 깃발처럼 허망해 보였다.

가족들에 대한 모욕은 해군 측이 생존자와 실종자 명단이 적힌 종이 쪽지를 전단지 나눠주듯 배포할 때 절정에 달했다. 그것은 흡사 대입 합격자나 아파트 분양 당첨자를 알려주는 모습과도 닮아 있었다. 그곳에서 실종 장병들의 목숨은 종이 한 장만큼이나 하찮게 보였다.

병사가, 그리고 그 가족이 이렇게 욕을 당하면 군 수뇌부 역시 그쯤되는 집단으로 인식된다는 점을 아무래도 모르는 모양이다. 인간은 스스로를 모욕한 뒤에야 남으로부터 모욕을 받는다는 옛 중국 성현의 말씀은, 오늘날에도 동방의 이 나라에서 찬란하게 빛나고 있다.

carlos@seoul.co.kr
2010-03-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