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준말과 본딧말/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준말과 본딧말/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6-28 17:42
수정 2017-06-29 0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싸우는 일을 뜻하는 ‘쌈’의 본딧말은 ‘싸움’이다. ‘쌈’이 준말이고 ‘싸움’이 본딧말인 관계다. 따라서 두 말을 달리 보기보다는 대체로 같은 말로 여긴다. 국어사전에서조차 뜻풀이를 ‘싸움’에만 해 놓기도 한다. 아니면 각각의 표제어에 똑같은 풀이를 달아 놓는다. 한 뿌리이고 의미 차이도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실제 쓰임새가 같은 것은 아니다. 형태가 달라지면 뜻도 조금 벌어진다. 뜻빛깔이 다르게 나타난다. 준말은 본딧말의 무게감을 유지하지 않는다. 가벼워지고 더 점잖지 않을 때가 많다. 때로는 ‘낮춤’의 뜻을 더하거나 ‘발랄’ 혹은 ‘경쾌’의 의미를 더하기도 한다.

‘쌈’과 ‘싸움’의 관계도 그렇다. ‘쌈’은 ‘싸움’보다 점잖지 않게 비친다. ‘샛길’은 ‘사잇길’과 다른 말처럼 느껴진다. ‘사이에 난 길’이나 ‘작은 길’이 아니라 ‘옆길’ 또는 ‘정상적이지 않은 길’의 의미가 강하다.

접사가 붙어 뜻이 달라지는 파생어 정도는 아니지만, 준말도 뜻이 더해지며 조금 달라진다. ‘퍼렇다’에 접사 ‘시-’가 와서 ‘시퍼렇다’라는 새말이 되듯 준말도 새로운 말이 되는 것이다. 동사와 형용사처럼 활용하는 말들에선 준말과 본딧말이 또 다른 차이를 보인다. ‘머물다’의 본딧말인 ‘머무르다’에는 접미사 ‘-어’가 붙어 ‘머물러’가 된다. 준말 ‘머물다’에는 ‘-어’가 붙지 않는다. ‘머물어’는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다.

2017-06-29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