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도 다른 씨앗식물들처럼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씨앗에는 ‘갓털’이라는 솜털이 붙어 있다. 갓털 덕분에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간다. 홀씨(포자)가 아니라 씨앗(종자)으로 번식을 한다. 그러니 ‘민들레 홀씨’라는 말은 성립하지 않는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민들레가 홀씨식물이 아니라는 것은 이제 상식에 가까워졌다. 이렇게 된 데는 역설적이게도 ‘민들레 홀씨 되어’라는 노래가 큰 기여를 했다. 노래 발표 이후 제목이 잘못됐다는 지적과 항의가 수없이 이어졌다. 노래를 부른 가수는 뒤늦게 사과를 하기도 했다.
지적들은 사전과 과학 지식에 근거한 것이었다. 사전에는 ‘무성생식을 위한 세포’라는 뜻의 ‘홀씨’만 올라 있다. 민들레는 홀씨로 번식하지 않았다. 한데 노래 ‘민들레 홀씨 되어’에서 ‘홀씨’는 사전의 생물학적 용어로만 볼 일은 아니었다. 바람에 홀로 날아가는 씨앗이었다.
모든 말을 사전에 올릴 수는 없다. 뜻풀이도 마찬가지로 사전에 다 담을 수 없다. 말들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변화하며 쓰인다.
wlee@seoul.co.kr
2018-07-2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