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뭔가에 여생을 바친다는 것/번역가

[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뭔가에 여생을 바친다는 것/번역가

입력 2021-11-10 17:34
수정 2021-11-11 02: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택규 번역가
김택규 번역가
독서 모임에서 오랜만에 두 제자를 만났다. 각기 출판사와 웹소설 기획사에서 일하는 그들은 모두 내년 출간 계획을 짜느라 눈코 뜰 새가 없다고 했다.

“출간 계획은 윗선에서 짜는 것 아닌가? 너희는 그렇게 바쁠 게 없을 것 같은데.”

“아니에요, 선생님. 그게 바로 지금 저희가 할 일이에요.”

나는 그제야 그들이 벌써 팀장급이 돼 각기 직장에서 미래 사업을 기획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선생인 내 눈에는 여전히 어리게만 보이지만 사실 그들은 이미 경험과 감각 면에서 한창 무르익은 능력을 발휘하는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인 것이다.

순간 며칠 전 중문과 교수로 일하는 선배에게 들은 이야기가 떠올랐다.

“이제 내게 남은 일은 앞으로 대학 구조 조정기에 우리 학과가 살아남을 수 있게 전공 방향과 커리큘럼을 잘 정리해 후배 교수들한테 물려주는 거야.”

그때 나는 조금 어이가 없었다.

“그게 무슨 난데없는 소리예요. 형, 퇴직하려면 얼마나 남았는데요.”

“나 6년 후면 퇴직이야.”

아연한 내 눈에 새삼 성글어진 선배의 머리숱과 힘 빠진 어깨가 선명하게 비쳤다.

대만의 인문학자 양자오는 인간이 언젠가 죽는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다들 적어도 내일, 내년에는 자신이 죽을 리 없다고 철석같이 믿으면서 꼭 영원히 살 것처럼 하루하루를 산다고 말한 바 있다. 내가 딱 그런 꼴이다. 그래서 나도 나이 들어 가는 것을 까맣게 잊고 있다가 이렇게 주변 사람들의 변화를 인지할 때마다 깜짝 놀라곤 한다.

양자오는 왜 그런 얘기를 했을까. 유한한 존재인 인간이 그 유한성을 망각한 채 살아가는 게 일종의 자기 최면이라면 도대체 어떻게 사는 게 옳다는 것일까. 시시각각 줄어드는 자기 수명을 늘 체크하면서 지금 남아 있는 과업이나 못다 이룬 꿈에 열중하라는 것일까.

그게 맞다면 계산해 보자. 2005년 78.6세였던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2050년 86세가 될 것이라고 한다. 도중에 의외의 죽음을 맞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때 내게 남은 수명은 36년, 날짜로 치면 1만 3140일이다. 휴대폰 달력의 오늘자 메모란에 13140을 찍고 매일 13139, 13138, 13137… 이렇게 역순으로 줄여 가며 여생이 다 사그라질 때까지 뭔가에 집중해야 하는 걸까. 그렇다면 내게 그 ‘뭔가’는 또 무엇일까.

중국의 저명한 학자 이중톈은 2013년 66세의 나이에 신화 시대부터 덩샤오핑 시대에 이르는 중국사 전체를 36권으로 정리하겠다고 선포하면서 그것이 자신의 마지막 역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2021년 현재 ‘이중톈 중국사’의 기술은 제23권 명나라 영락제 시대에 이르렀다. 그는 어느덧 74세가 됐는데도 여전히 중국 남방의 어느 소도시에서 집필에 열중하고 있다.

이 시리즈의 한국어판 역자인 나는 이 노장의 열정이 놀랍고도 두렵다. 왜냐하면 나는 이제 고작 제16권을 번역했기 때문이다. 그는 끝내 죽음과의 경주에서 승리해 36권을 완간할 수 있을까. 또 나 역시 무사히 한국어판 36권을 완간할 수 있을까. 하지만 ‘이중톈 중국사’는 그의 마지막 역작일 뿐 나는 그 시리즈의 한국어판을 내 마지막 역작으로 삼고 싶은 생각은 없다. 어정쩡한 50대 초입에서 그저 배회하고 있을 뿐 이중톈처럼 어떤 과업의 완수를 내 삶의 종착점이자 과녁으로 삼고 나 스스로를 쏘아 날리겠다는 마음가짐이 돼 있지 않다.

이따금 강남의 빌딩숲 사이를 헤맬 때면 난 어떤 스산한 느낌에 머릿속이 아득해지곤 한다. 언젠가 나라는 존재가 사라진 뒤에도 강철과 콘크리트와 통유리로 이뤄진 이 거대한 구조물들은 계속 멀쩡히 이렇게 우뚝 서 있을 게 아닌가.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할까. 내 눈이 지각하고 내 의식이 재구성하지 않는 세계가 어떻게 내 사후에도 여전히 건재할 수 있단 말인가. 그렇게 존재 자체가 미심쩍은, 내가 부재하는 미래의 세상을 위해 내가 뭔가에 여생을 바치는 게 과연 지혜로운 일일까. 사실은 오늘 이 시간에도 내가 속한 이 세상의 운행을 위해 내게 부과된 역할을 바쁘게 수행하며 살아가면서도 문득문득 이런 허황된 상념에 빠지곤 한다.
2021-11-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