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건물의 품질이 떨어지고 있다. 건축·건설산업은 물을 사용하는 노동집약적 습식공법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숙련된 인력과 값싼 노동력으로 품질을 발휘한다. 그러나 노동력 부족과 숙련공 감소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는 전 세계가 직면한 과제로, 품질 하락을 막으려면 기술집약적 시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해법은 탈현장시공(OSC)이다. OSC 재료는 가공이 쉽고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해야 한다.
둘째는 탄소배출 문제다. 건축·건설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34% 이상을 차지한다. 탄소 규제는 직간접 에너지 사용에 해당하는 스코프(Scope)1(직접 배출), 2(간접 배출)에 집중됐으나 앞으로는 생산·시공·해체 등 전 과정을 포함하는 스코프3(가치사슬 배출)로 확대된다. 산업 전 과정을 평가하는 환경성적표지(EPD)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의 핵심 기준이 돼 기업과 지자체의 투자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유럽연합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도입해 일부 품목에 탄소세를 부과하고 향후 건자재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탄소배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우리 경제는 막대한 피해를 피하기 어렵다.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해법은 재료의 전환이다. 그 재료는 목재다. 건축자재는 생산 시 막대한 탄소를 배출하는 것과 달리 목재는 성장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환경성적표지값이 음수인 유일한 자재다. 가공성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비강도도 높아 기술집약적 건식공법인 OSC에 최적화돼 있다. 이는 공사 기간을 줄이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세계 최고층 목조 건축물인 어센트타워는 공사 기간 50%, 인건비 75%를 절감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다만 목재 건축 수요 확대가 국산 목재의 성장으로 이어진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현재 국산 목재는 제재목으로 약 16%(52만㎥)만 활용되면서 제재목 수입량(약 410만㎥)이 국산 목재의 8배에 이른다. 해외 목재 기업 다수는 RE100(재생에너지 100%)을 달성했다. 그러나 우리 기업은 상황이 다르다.
수입 목재 사용이 기업 단위의 탄소중립 달성에는 유리하나 국산 목재만 반영되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는 괴리가 발생한다. 정부는 목재 건축 활성화 정책과 국산 목재 이용 정책이 충돌하는 딜레마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고, 산림의 지속가능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산림은 이용·조림·숲 가꾸기·목재 생산이 순환돼야 건강하게 관리되는데 국산 목재 이용이 줄어 순환 고리가 끊기면 이를 복원하는 데 막대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위기는 곧 기회다. 목재 건축의 세계적 흐름에 맞춰 국산 목재 활용을 확대하면 국산 목재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50여년간의 노력으로 울창한 산림을 확보했다.
산림관리 혁신이 뒷받침돼야 한다. 국산 목재의 고부가가치 활용과 산림자원 순환 경영 실현, 목재산업의 구조 고도화 및 신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산림을 국가 탄소중립 전략의 핵심 축으로 격상시켜 범국가 차원의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금이 목재 건축을 위한 ‘골든타임’이다. 산림을 살리고 목재 건축이라는 세계적 흐름에 합류하기 위해 산림자원 순환경영을 실천하며 국산 목재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산림이 RE100을 넘어 BE100(건축물 탄소 배출량 100% 감축)과 NDC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미래 자산으로 거듭날 것이다.
강태웅 단국대 건축학부 교수
이미지 확대
강태웅 단국대 건축학부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강태웅 단국대 건축학부 교수
2025-08-29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