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신문 언어

[이경우의 언파만파] 신문 언어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4-11 20:22
수정 2021-04-12 00: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지난 7일은 신문의 날. 1896년 창간된 독립신문 첫 호가 나온 날이기도 하다. 독립신문의 창간 정신을 기리자는 뜻이 담겼다.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인 독립신문은 자주, 독립, 민권을 내세우며 순한글판을 내놓았다. 신문은 창간호 논설에서 “우리 신문이 한문은 아니 쓰고 다만 국문으로 쓰는 것은 상하귀천이 다 보게 함이라”고 했다. 쉬운 언어로 정보를 전하며 독자들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후 신문들은 여기에 더해 정확하고 공정한 언어를 사용하겠다고 외쳐 왔다. 이것은 신문 언어가 지향하는 기준이 됐다. 그렇지만 독자들은 여전히 어려운 신문의 언어들에 대해 지적한다. 부정확하고 불공정한 말들 때문에 불편해한다.

‘팬데믹’은 2000년 이전 신문에선 거의 쓰지 않았다. 2000년대 들어 띄엄띄엄 보이다가 2009년 신종플루가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쓰이는 빈도수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카인즈에서 2020년 기사를 검색하면 ‘코로나19 대유행’은 4만 3436건, ‘코로나19 팬데믹’은 3만 28건이 보인다. ‘팬데믹’이 전문용어도 아니고, ‘대유행’이 담지 못하는 의미를 전하는 것도 아닌데, ‘팬데믹’을 사용하는 기사들이 크게 늘어났다.

‘일축하다’는 서술어도 자주 보인다. ‘단번에 거절하거나 물리치다’란 뜻이다. 전달자의 의견이 반영된 말로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마찬가지로 ‘강조하다’, ‘비판하다’, ‘비난하다’, ‘경고하다’, ‘토로하다’, ‘뭉개 버리다’, ‘맹폭하다’ 같은 말들도 흔하다. 다른 표현을 하고 싶은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객관성만 해칠 뿐 얻는 이익은 별로 없어 보인다.

신문은 기사에 등장하는 사람들에게 대부분 존칭을 사용한다. ‘씨’가 가장 일반적이고, 일정한 직함이 있다면 직함을 사용한다. 하지만 ‘씨’는 존칭의 의미를 잃어 가고 있고, 직함은 권위를 실은 말이 돼 가고 있다. 사회적 권위를 가진 이들에게는 거의 ‘씨’를 붙이지 않는다. 운동선수나 연예인들에게는 존칭을 붙이지 않는다. 형평성에 맞지 않는 일이다.

그동안 신문 언어는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반성이 부족했다. 단순히 ‘바른말 고운말’을 쓰면 된다는 식은 아니었는지 되돌아봐야 했다. 신문 언어는 그리 주체적이지 않았다. 각 분야의 언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보도자료의 언어, 이전 시대의 언어, 정치의 언어, 기업의 언어, 국어사전의 언어를 너무 쉽게 가져다 썼다.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정확하고 쉬운 신문의 언어여야 했다.

wlee@seoul.co.kr
2021-04-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