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150억원의 퇴직금/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150억원의 퇴직금/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3-07-02 00:00
수정 2013-07-02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기업 임원들은 우스갯소리로 자신들을 ‘비정규직’이라고 낮춘다. 수억원대 연봉을 받지만 보통 2년에 한 번씩 피 말리는 재계약을 통해 해고의 위험을 넘겨야 한다는 것이다. 회사원들은 20~25년쯤 회사 다니다가 대부분 부장으로 퇴직하고, 퇴직금으로 1억~1억 5000만원 정도 받는다고 한다. ‘샐러리맨의 꽃’이라는 이사를 달면 퇴직하고 고액 연봉제로 들어간다. 5대 그룹과 시중은행 임원을 기준으로 연봉이 이사는 3억~4억원, 전무가 5억~6억원, 부사장이 7억~9억원, 사장이 9억~10억원, 회장이 12억원 이상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이들의 퇴직금은 2년 기준으로 하면 연봉의 두 배 정도가 된다.

박종원 코리안리 사장이 오는 14일 퇴임하면서 퇴직금으로 150억원을 챙긴다. 재무부 관료 출신인 그는 1998년부터 다섯 번 연임해 15년 사장직을 맡았고, 코리안리를 세계 10위 재보험사에 올려놓았다고 한다. 금융권의 보수와 보상체계가 남다르다고 하니, 150억원 퇴직금에 위화감을 느낀다면 매우 촌스러운가.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3-07-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