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학연보다 흡연?/안미현 논설위원

[길섶에서] 학연보다 흡연?/안미현 논설위원

입력 2013-11-27 00:00
수정 2013-11-27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출퇴근 때마다 마주치게 되는 풍경이 있다. 건물 앞에 삼삼오오 모여 담배를 피우는 이들이다. 금연 규제에 걸려 건물 밖으로 밀려난 흡연족(吸煙族)들이다. 기온이 영하로 뚝 떨어졌어도 이들은 결코 담배 피우기를 포기하지 않는다. 그중에는 혼자서 외로이 허공에 연기를 내뿜는 이도 있고, 둘씩 셋씩 짝을 지어 수다를 떠는 이도 있다. 오들오들 떨면서도 담배 한 개비의 기쁨을 공유하는 이들을 보면 요즘엔 혈연, 지연, 학연보다 더 진한 게 ‘흡연’(吸緣)이라는 우스갯소리에 공감이 간다. 언제부턴가 주위에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눈에 띄게 줄었다. 그러니 황소바람에, 찜통더위에, 담뱃갑을 들고 함께 밖으로 나갈 동료도 귀할 터다.

그런데 어쩌나. 흡연족의 설 땅이 갈수록 좁아지는 것 같다. 국회가 길거리 흡연도 금지할 낌새다. 담뱃값 인상 얘기도 또 나온다. 흡연족은 푼돈으로 누릴 수 있는 삶 속의 작은 위안을 빼앗지 말라며 반발한다. 몸에도 안 좋은 담배를 왜 저렇게 기를 쓰고 사수하나 싶다가도 한편으론 마음이 조금 짠하다. 날씨가 너무 추워져서이리라.

안미현 논설위원 hyun@seoul.co.kr

2013-11-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