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부끄러움/박찬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부끄러움/박찬구 논설위원

입력 2014-06-02 00:00
수정 2014-06-02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출근시간, 엘리베이터에서 내렸다. 뒷발이 빠져나오기 무섭게 철커덩 문이 닫힌다. 뒤에서 닫힘 버튼을 눌렀나 보다. 꼬리가 잘려나가는 기분, 왠지 씁쓸했다. 누군가의 바쁜 일상에 짐이 된 듯한 민망함, 혹은 내침을 당한 듯한 괘씸함이 엇갈린다. 혀를 찼다. 반나절이 지났을 무렵, 하행 엘리베이터를 탔다. 중간에 서고, 또 서고를 반복했다. 나도 모르게 버튼을 눌러대며 앞사람의 꼬리를 계속 자르고 있었다. 피식하며 쓴웃음이 샜다.

퇴근길, 약속시간에 쫓기며 간신히 지하철 2호선에 올랐다. 몸을 돌리기 힘들 정도로 붐볐다. 바로 옆 20대 승객에게 눈길이 갔다. 양손으로 스마트폰을 쥐고 게임에 몰입해 있었다. 다른 승객 서넛도 스마트폰에 시선을 고정한 채 기사를 검색하거나 드라마를 보고 있었다. 양쪽 팔은 죄다 ‘V’자, 그 팔들만 일자로 뻗어 내려도 주변 사람들의 불편함이 덜할 텐데….

순간 뒤쪽에서 누군가 거친 숨을 쉬며 내 등을 떠민다. 아차 싶었다. 온갖 잡동사니로 불룩한 배낭을 얼른 등에서 내려 양다리 사이로 가져갔다. 화끈하며 식은땀이 흘렀다.

박찬구 논설위원 ckpark@seoul.co.kr
2014-06-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