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교복의 추억/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교복의 추억/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5-02-25 18:02
수정 2015-02-25 18: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재미난 사진 한 장을 휴대전화로 받았다. 초등학교 3학년 조카가 옛날 교복 차림으로 서 있는 모습이다. 그의 40대 부모도 입어 보지 못했을 까만 교복 저고리를 입고 손가락으로 브이(V) 자를 그리며 제 옷을 입은 양 천연덕스럽게 웃고 있다. 학교 배지가 달린 모자를 삐딱하게 쓰고, 손에 들려 있어야 할 책가방을 옆구리에 낀 모습을 보니 동네 불량 오빠가 따로 없다. 요즘 복고 바람이 분다더니 박물관에서도 이런 교복 체험을 하는 곳이 꽤 있다고 한다.

교복 입은 조카를 보니 양 갈래 머리 곱게 땋고 교복 입던 여고생 시절이 그리워진다. 짙은 감색 교복 저고리에는 하얀 칼라가 달려 있었는데, 똑딱이 단추를 달아 탈부착이 가능했다. 하얀 칼라의 목 부분이 더러워지면 겨울철 손 호호 불어 가면서 세탁을 했다. 시험 때면 어머니가 대신 빨아서 다림질까지 해 주시곤 했다.

요즘 세대들의 교복은 색상도 다양하고 디자인도 멋져 예전 교복과는 사뭇 다르다. 앙드레 김이 디자인했다는 교복이 있을 정도니 우리 세대들이 보면 교복이라 할 수도 없을 것 같다. 그래도 그들도 먼 훗날 교복 입던 시절을 그리워할 게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5-02-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