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감꽃 엔딩/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감꽃 엔딩/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6-06-09 23:00
수정 2016-06-10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절집 동백은 눈물처럼 진다는 꽃. 목련은 촛불처럼 피었다 떠난다는 꽃. 우리 아파트 화단의 감꽃은 삼십촉 알전구처럼 깜빡깜빡 피었다 보슬비처럼 지는 꽃이다. 툭툭 통째로 낙하하는 모양은 동백, 목련하고 닮았지만 부끄럼 많기로는 꽃 중에 으뜸. 어른 손바닥만 한 잎사귀에 노랗게 숨어 매달린 것이 영락없는 아기 손톱이다.

어릴 적 동네에는 담벼락마다 감나무 한두 그루 없는 집이 없었다. 나무 발치에 소복이 떨어진 감꽃이면 한나절 정신없이 놀고도 남았다. 매끈한 통꽃 한 바가지 먼저 줍는 사람이 임자.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꿸 줄 알았던 목걸이, 배고프지 않아도 꼭꼭 씹어 보던 꽃. 한 끼 건너기가 강물보다 어려웠다는 그 옛날 보릿고개 기억의 유전자. 보고만 있어도 허기지는 꽃.

사연 많은 꽃이 콘크리트 길을 덮었는데 우리 아파트 아이들은 그냥 지나만 간다. 휴대전화에, 영어 단어장에 코를 박고. 그리움이 삶을 밀고 갈 때 있는데, 추억이 삼계탕보다 진한 오뉴월 보양식이 될 때 있는데. 한번 돌아보라고, 발 앞에 눈깔사탕이라도 던져 주고 싶은 오지랖이다. 쓸데없이 애만 타는 봄날의 끝, 감꽃 엔딩.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6-06-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