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해외 봉사/박홍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해외 봉사/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6-09-11 20:44
수정 2016-09-11 2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젊은 직원이 회사를 그만뒀다. 취업 절벽에 한숨이 깊고 깊은 현실에서 입사 3년 만에 직장을 떠났다. 다들 더 나은 곳으로 옮기려나 싶었다. “어디?”라는 질문에 “해외 봉사”라는 답이 돌아왔다. “평생 안정적으로 직장을 다닐 수 있겠지만, 안주하면 끝내 꼭 하고픈 일을 할 수 없을 것 같아서.”

평소 해외 봉사의 꿈을 꾸고 있었다. 때마침 모집 공모를 본 뒤 직장과 꿈을 놓고 고민을 거듭하다 “이 길”을 결정했다. 지원한 결과 운 좋게 기회를 잡았다. 중앙아시아의 한 개발도상국가에서 정부의 지원 아래 힘껏 봉사하며 한국어를 가르칠 계획이라고 했다.

집에서 반대가 많았다. “결혼할 나이에 멀디먼 이국땅이라니, 그것도 여자 혼자서.” 동료들도 “정말 배부른가 보다, 무모한 거 아니냐”라며 만류했다. 충분히 있을 만한 반응이다.

해외 봉사, 설레지만 용기 없이는 섣불리 나설 수 없는 도전이다. 용기란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게 아니라 두려움에 대한 저항이자 극복이라고 하지 않던가. 새로운 삶은 기존의 틀을 깨는 데서부터다. 타국에서 낯선 사람들을 도우며 넓고 다양한 세상을 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용기에 격려를 보낸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09-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