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마지막 잎새/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마지막 잎새/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16-11-28 22:48
수정 2016-11-29 00: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홑바지를 솜바지로 바꿔 입게 된다는 소설(小雪) 추위는 어김이 없었다. 빈틈없는 톱니바퀴처럼 절기에 딱 맞춰 아침 기온은 영하로 뚝 떨어졌다. 김장을 비롯해 본격적인 겨울 채비로 분주할 시기다. 어디 사람뿐인가. 산속의 다람쥐는 도토리며 상수리며 가리지 않고 주워 먹어 토실토실 동면 준비를 마쳤을 게 분명하다. 골목길 유랑 고양이들도 복슬복슬한 털로 갈아입었다.

간밤에 거센 북풍을 고스란히 맞으며 울어 대던 집 앞 은행나무가 노랗게 마른 잎새를 바닥에 한가득 떨어냈다. 앙상한 가지에는 10여장의 잎새만 힘없이 걸려 있다. 얼마 안 있어 그들도 모두 은행나무와의 인연을 떼어 낼 것이다. 마지막 잎새를 떨어내면 은행나무는 비로소 온전한 휴식을 취하게 된다. 내년 봄 더욱 풍성한 잎새들을 틔우는 행복한 잠에 빠져들지도 모르겠다.

누군가는 절망이라고 한다. 곧 닥칠 삭풍한설(朔風寒雪)이 두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후의 잎새 한 장마저 남김없이 훌훌 떨어내도록 하는 것이 자연의 섭리다. 자연은 모든 것을 그토록 치밀하게 준비한다. 마지막 잎새는 그래서 희망이다. 엄동설한이 지나야 꽃피는 봄이 오는 것 아닌가.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6-11-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