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집밥 공동체

[길섶에서] 집밥 공동체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4-11-18 00:40
수정 2024-11-18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퇴근길에 집 앞 반찬가게에 들러 국과 찌개, 밑반찬 등을 사곤 한다. 식재료를 사서 직접 요리하면 좋겠지만 시간도 부족하고 기운도 떨어져 주중엔 엄두가 나지 않는다. 식구가 두 명으로 단출하다 보니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가 쉽지 않은 탓도 있다. 소량으로 사도 늘 여분이 생겨서 고민이다.

손질된 재료와 양념이 들어 있어 조리만 하면 되는 밀키트도 애용하는 편이다. 사 먹는 반찬에 대한 죄책감을 줄이면서 짧은 시간에 집밥을 해먹는다는 만족감을 얻기에 최적의 대안이다.

반찬가게와 밀키트가 양분하던 우리 집 밥상에 새로운 선택지가 생겼다. 살고 있는 아파트에서 이달 하순부터 조식 서비스를 진행한다고 한다. ‘밥 주는 아파트’는 고급 신축 아파트에서나 가능한 일인 줄 알았는데 이제는 그렇지만도 않은 모양이다. 한식, 간편식 등으로 구성된 식단에서 메뉴를 골라 일정 기간 이상 구독 신청하면 아침 일찍 문 앞에 배달하는 시스템이다.

집밥의 진화라고 해야 할까, 집밥의 멸종이라고 해야 할까. 아무튼 거대한 집밥 공동체의 시대가 도래한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이순녀 수석논설위원
2024-11-1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