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곡물 자급률/전경하 논설위원

[씨줄날줄] 곡물 자급률/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2-05-15 20:40
수정 2022-05-16 02: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00g 두부 한 모 값은 크게 두 가지다. 국산콩으로 만들었으면 2000원이 훌쩍 넘는다. 외국산 대두로 만들었으면 1000원대다. 부침가루도 국내산 밀가루 제품은 외국산 밀가루 제품보다 2~3배 정도 비싸다. 우리 땅에서 자란 농산물을 쓰자는 생각에 국내산을 고르려 하지만 2~3배 가격 차이는 부담스럽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곡물 수입국이다.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곡물 자급률이 19.3%(2020년 기준)다. 일본이 27.3%, 중국 91.1%, 미국 120.1%다. 곡물별로 보면 주식인 쌀(92.8%)을 제외하고는 밀(0.5%), 콩(6.6%), 옥수수(0.7%) 등은 거의 수입한다.

식습관이 바뀌면서 쌀은 갈수록 적게 먹는다. 지난해 국민 한 명이 먹은 쌀은 56.9㎏으로 1991년(116.3㎏)의 절반이다. 섭취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품목은 육류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2000년 31.9㎏에서 2019년 54.6㎏까지 늘었다. 밀 소비량은 1인당 33㎏ 전후로 큰 변화가 없다.

우리나라는 사료의 절반가량을 수입한다. 식량 자급률은 40%를 넘는데 곡물 자급률이 20%가 안 되는 까닭은 사료 때문이다. 축산물 생산에서 사료비가 재료비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세계 곡물값이 오르면 사료비와 고기값도 충격을 받는 취약한 구조다.

사료용 밀은 주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수입했다. 두 나라는 전 세계 밀 수출량의 25%를 차지한다. 밀 수출량은 적지만 세계 2위 생산국인 인도가 지난 13일(현지시간) 밀 수출을 금지했다. 인도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밀 부족분을 보충해 줄 것이라 기대했던 터라 국제시장의 충격이 크다.

식량이 무기가 돼 가는 세상. 우리 정부도 올해 국산 밀 비축물량을 지난해보다 5600t 늘어난 1만 4000t으로 잡고 매입 시기도 한 달 앞당겨 6월 말부터 사들인다. 비축용으로 보관하는 한편 일부는 식품기업에 공급하는 등 밀 관련 비용 일부를 지원한다. 국내 밀 산업이 몰락한 것은 미국의 밀가루 무상원조 탓이 컸다. 정부 정책이 예기치 않던 부작용을 낳는 대표적인 사례다. 식량안보 정책은 필요하지만 자급률을 높이는 데 따른 부작용도 점검해야 한다.
2022-05-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