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노동당 재집권 성공…연정구성 착수

호주 노동당 재집권 성공…연정구성 착수

입력 2010-09-07 00:00
수정 2010-09-07 15: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호주 집권 노동당이 가까스로 재집권에 성공했다.

 노동당은 7일 연방의회 총선 하원 과반획득(76석) 열쇠를 쥔 무소속 당선자 3명 가운데 2명의 지지를 얻어 과반획득에 성공했다.

 노동당은 이에 따라 줄리아 길러드 대표겸 총리를 중심으로 차기 정부 구성에 착수했다.

 차기 정부는 노동당과 녹색당,무소속의 연립정부 형태로 구성된다.

 호주에서는 하원 과반획득 정당이 집권당이 돼 정부를 구성한다.

 노동당은 지난달 21일 치러진 총선에서 과반획득에 실패했으나 그동안 무소속 당선자 및 녹색당 당선자들과 협상을 펼친 끝에 마침내 과반획득을 이끌어내 향후 3년간 연정 구성 형태로 정국을 이끌어가게 됐다.

 이로써 총선이후 17일동안 진행된 국정공백 상태가 마무리되게 됐다.

 동시에 호주 의회는 자력으로 하원 과반의석을 확보한 정당이 없는 이른바 ‘헝의회(Hung Parliament)’ 상태에서 운영되게 돼 향후 정국 불안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밥 캐터(퀸즐랜드주 케네디 지역구),토니 윈저(뉴사우스웨일스주 뉴잉글랜드 지역구),롭 오크샤트(뉴사우스웨일스주 린 지역구) 등 무소속 당선자 3명은 이날 각각 캔버라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지 정당을 밝혔다.

 캐터 당선자는 이날 가장 먼저 야당연합(자유당 및 국민당) 지지의사를 밝혔고 이어 윈저 당선자는 노동당 지지를 선언했다.

 마지막으로 등장한 오크샤트 당선자는 “자력으로 과반을 획득한 정당이 없어 정국 불안이 우려된다”며 “호주의 발전을 위해 집권 노동당에게 기회를 줘 정국을 이끌어 가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노동당 지지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지난 6월말 케빈 러드 전 총리에 이어 노동당 대표로 선출된 길러드 총리는 호주 최초의 선출직 여성 총리라는 새로운 기록을 갖게 됐다.

 또 이변이 없는 한 당분간 노동당 대표겸 총리직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가는 자력으로 과반획득에 성공한 정당이 없는 만큼 총선을 재실시해야 한다는 여론이 점차 확산되고 있지만 재선거가 실시될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헝의회 상태라도 주요 정책현안에 대해 정치권이 토론과 표결을 거칠 수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노동당이 일단 연정을 통해 정국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