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환율·영토 전쟁중] 밀리면 끝장… 美·中 정상 비장한 환율전쟁

[동북아 환율·영토 전쟁중] 밀리면 끝장… 美·中 정상 비장한 환율전쟁

입력 2010-09-25 00:00
수정 2010-09-25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바마 “좀 더…” 원자바오 “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의 회담에서 중국이 환율 문제에 대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제프리 베이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보좌관이 밝혔다.

베이더 보좌관은 오바마 대통령과 원 총리와의 회담 직후 언론 브리핑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관계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회담에서 중국이 지난 6월 환율 정책을 일부 완화한 것을 환영하면서도 앞으로 수개월 안에 위안화가 보다 빠른 속도로 절상되기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베이더 보좌관은 오바마 대통령이 과거 중국 정상과의 회담 때와 달리 환율 문제를 최대 현안으로 집중적으로 다뤘으며 회담 내용은 “매우 솔직하고 건설적이며 깊이 있게 논의됐다.”고 말해 환율 문제에 대해 양국 간에 이견이 적지 않았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회담에서 미 하원 세입위원회에서 표결을 준비하고 있는 중국 위안화에 대한 제재 법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거론은 되지 않았으나 중국 환율 문제에 대한 미 의회의 강경한 분위기는 논의됐다고 베이더 보좌관은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 법안에 대해 어떠한 약속도 하지 않았으며, 원 총리도 미 행정부와 의회의 관계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원자바오 총리는 중국이 환율문제에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는 오바마 대통령의 요구에 대해 중국이 환율체계 개선을 위해 노력 중이며, 이 같은 노력을 앞으로 계속해 나갈 것이라는 원칙적인 입장을 밝혔다고 베이더 보좌관은 전했다.

원 총리는 오바마 대통령과의 회담에 앞서 기자들에게 “미국과 중국 간에는 이견보다는 공통의 관심사가 더 많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 측은 회담 결과에 대해 기자들에게 브리핑을 하지 않았으며, 중국 언론들은 회담 결과보다는 원자바오 총리의 유엔 총회 연설을 비중 있게 다뤘다. 원 총리는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진정한 중국’은 아직도 개발도상국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원 총리는 “지난 30여년간 중국이 이뤄온 개발과 변화가 전 세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면서 “그러나 전체적으로 중국은 사회주의 초기 단계에 있으며 개발도상국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09-2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