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작 누명 벗은 벨라스케스

위작 누명 벗은 벨라스케스

입력 2010-12-23 00:00
수정 2010-12-23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필립4세 초상’ 복원결과 진품확인

이미지 확대
젊은 필립 4세의 초상
젊은 필립 4세의 초상
17세기 바로크 시대 최고의 궁정화가로 꼽히는 스페인의 디에고 벨라스케스는 완벽주의적인 성향으로 인해 평생 100점이 조금 넘는 작품만 완성했다. 그중에서도 1900년대 초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공개한 ‘젊은 필립 4세의 초상’은 당시 18세였던 왕의 가장 어린 시절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이자 전신 초상이라는 점 때문에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1973년, 미술관 측은 다른 필립 4세의 초상이나 붓 터치, 전체적인 구도를 볼 때 벨라스케스가 아니라 그의 제자들이 그린 것이라는 주장과 함께 위작 시비가 불거지자 이 그림을 지하 창고로 옮겨 처박아 놓았다.

뉴욕타임스(NYT)는 21일(현지시간) “37년간의 복원 작업과 과학적 평가를 거친 결과 벨라스케스가 누명을 벗었다.”면서 “그림이 원래 위치인 유럽미술전시관에 다시 전시됐다.”고 보도했다. 미술관 복원사들과 과학자들은 엑스레이 기술과 탄소연대 측정 등을 이용해 이 그림이 보스턴 미술관과 마드리드 미술관이 소장한 필립 4세의 초상과 밑그림부터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위작 시비를 주도했던 감정사 조너선 브라운은 “4년여에 걸린 감정 끝에 이제는 이 작품이 진품이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게 됐다.”면서 “캔버스의 크기와 소재, 그림 안에 배치된 소품과 의상 모두 벨라스케스를 가리키고 있다.”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2-2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